기준일자: 2024. 08. 15.

생활법률

내 돈을 노리는 함덫! 피싱, 스미싱, 파밍 완벽 정리!

안녕하세요! 요즘 온라인 세상이 발달하면서, 교묘하게 우리의 돈을 노리는 온라인 금융 사기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특히 피싱, 스미싱, 파밍은 익숙한 이름이지만, 그 수법이 날로 진화하고 있어 늘 주의해야 합니다. 오늘은 이 세 가지 함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안전하게 내 돈을 지키는 방법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 피싱 (Phishing) - 낚시처럼 개인정보를 낚아채는 사기!

피싱은 '개인정보(Private data)'와 '낚시(Fishing)'의 합성어로, 마치 낚시처럼 교묘한 속임수로 우리의 개인정보와 금융정보를 훔쳐가는 사기 수법입니다. 전화, 문자, 메신저, 가짜 웹사이트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며, 심지어 지인을 사칭하기도 합니다.

피싱의 유형:

  • 보이스피싱: 검찰, 경찰 등을 사칭하여 돈을 요구하거나, 자녀 납치/사고 등의 거짓 상황을 만들어 돈을 갈취합니다.
  • 메신저피싱: 메신저에서 지인을 사칭하여 돈을 빌려달라고 요청합니다.
  • 피싱사이트: 진짜처럼 보이는 가짜 웹사이트로 유인하여 개인정보와 금융정보를 빼냅니다.
  • 몸캠피싱: 음란 화상 채팅을 유도하고 녹화한 후, 이를 유포하겠다고 협박하여 돈을 뜯어냅니다.
  • 스피어피싱: 특정 개인이나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매우 정교한 피싱 공격입니다.
  • 큐싱: QR코드를 통해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하는 신종 피싱 수법입니다.
  • 로맨스스캠: 온라인상에서 호감을 표시하고 신뢰를 쌓은 후 돈을 요구하는 사기입니다.

피싱 피해 대처법:

피싱으로 피해를 입었다면,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방지 및 피해금 환급에 관한 특별법 제3조에 따라 피해 구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1. 즉시 입금/송금 금융회사에 연락하여 피해 신고 및 계좌 지급정지를 요청합니다. (경찰청 112, 금감원 1332)
  2. 개인정보 유출이 의심될 경우 휴대폰 초기화, 악성 앱 삭제, 개인정보 노출 사실 등록 등의 조치를 취합니다.
  3. 경찰서에서 발급받은 '사건사고사실확인원'을 금융회사에 제출하여 피해구제를 신청합니다.

2. 📱 스미싱 (Smishing) -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함정!

스미싱은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로,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하는 문자 메시지를 보내 소액결제 피해나 개인정보 유출을 일으키는 사기 수법입니다.

스미싱 대처법:

  1. 의심스러운 문자 메시지는 절대 클릭하지 않습니다.
  2. 출처가 불분명한 앱은 설치하지 않습니다.
  3. 스미싱 의심 문자 수신 시 경찰청 사이버수사국(182) 또는 이동통신사 고객센터(114)에 신고합니다.

3. 🚜 파밍 (Pharming) - 정상 웹사이트 접속을 가로채는 악성코드!

파밍은 악성코드에 감염된 PC를 조작하여, 정상적인 웹사이트 주소를 입력해도 가짜 사이트로 연결되도록 하여 개인정보를 훔치는 수법입니다.

파밍 대처법:

파밍 피해 발생 시,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방지 및 피해금 환급에 관한 특별법 제3조에 따라 피해 구제 신청이 가능합니다.

  1. 경찰서(112) 또는 금융회사 콜센터에 지급정지를 요청합니다.
  2. 경찰이 발급한 '사건사고사실확인원'을 해당 은행에 제출하여 피해금 환급을 신청합니다.

피싱, 스미싱, 파밍 모두 교묘한 수법으로 우리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항상 경각심을 갖고, 의심스러운 문자나 웹사이트는 피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책입니다. 만약 피해를 입었다면, 위에서 안내드린 대처법에 따라 신속하게 조치하여 피해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안전한 온라인 생활, 우리 모두 함께 만들어가요!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생활법률

보이스피싱 당했어요! 피해구제 신청, 이렇게 하세요! 😱

보이스피싱 피해 시, 피해금이 빠져나간 본인 계좌 또는 사기범이 사용한 계좌의 금융회사에 피해구제신청서를 제출하여 피해구제를 신청할 수 있다.

#보이스피싱#피해구제#신청방법#전금법

생활법률

보이스피싱 막는 '지급정지' 제도, 낱낱이 파헤쳐보자!

보이스피싱 피해 방지를 위해 금융기관은 관련 법에 따라 사기 의심 계좌에 대해 지급정지 조치를 취하며, 이는 계좌 명의자, 피해자, 관련 기관에 통지되고 압류 등 법적 조치가 금지된다.

#보이스피싱#지급정지#사기이용계좌#계좌동결

상담사례

보이스피싱 당해서 내 명의로 대출?! 나도 책임져야 하나요? 😥

보이스피싱 대출 피해 발생 시, 피해자의 개인정보 관리 소홀 등 과실이 인정되면 피해자도 일부 배상 책임을 지지만, 대출기관 역시 본인 확인 소홀 등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보이스피싱#대출사기#피해자책임#개인정보관리

생활법률

불법 해킹, 악성 프로그램 유포, 스팸메일 발송... 절대 안 돼요! 🙅‍♀️🙅‍♂️

해킹, 악성 프로그램 유포, 스팸메일 발송 등 불법적인 온라인 활동은 엄중한 처벌 대상이며,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대상일 경우 가중 처벌된다.

#해킹#악성코드 유포#스팸메일#처벌

생활법률

메모리 해킹 당했어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

메모리 해킹 피해 발생 시 즉시 지급 정지(112, 금융기관) 후 PC 악성코드 검사 및 제거, 금융회사에 피해 보상 요구, 관련 법률에 따라 해커는 처벌받음.

#메모리 해킹#지급 정지#PC 치료#피해 보상

상담사례

보이스피싱, 내 돈 돌려받을 수 있을까? - 통장에 남아있는 돈은?

보이스피싱으로 돈이 다른 사람 계좌에 남아있다면, 부당이득반환청구를 통해 돌려받을 수 있지만, 돈이 빠져나갔거나 다른 상황 발생 시 경찰 신고 등 빠른 대처가 중요하다.

#보이스피싱#피해금#부당이득반환청구#통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