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정말 생각만 해도 아찔하죠. 힘들게 수리까지 마쳤는데, 왠지 모르게 손해 본 기분이 든다면? 사고 전과 똑같은 차처럼 보여도, 사고 이력이 남아 중고차로 팔 때 가격이 떨어질 수 있다는 불안감. 바로 '감가상각' 때문인데요. 이런 감가상각에 대한 손해, 보상받을 수 있을까요?
정답은 "받을 수 있다!" 입니다. 단, 몇 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내 차가 남의 잘못으로 사고가 나서 수리를 했지만, 사고 이력 때문에 차 가격이 떨어졌다면, 상대방에게 감가상각에 대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수리비만 받는 것 이상의 보상을 받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핵심은 바로 '중대한 손상' 여부입니다. 단순한 흠집이나 경미한 손상이 아닌, 차의 골격 부위가 파손되는 등 중대한 손상이 있어야 감가상각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중대한 손상'은 어떻게 판단할까요? 대법원 판례(대법원 2017. 5. 17. 선고 2016다248806 판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요소들을 바탕으로, 일반적인 거래 관행과 경험칙에 비추어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 '중대한 손상'을 입증할 책임은, 감가상각에 대한 보상을 요구하는 쪽, 즉 사고 피해자에게 있습니다.
따라서 사고 후 수리를 마쳤더라도, '중대한 손상'이 있었다면 감가상각에 대한 손해배상을 청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관련 증거를 잘 확보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다면 정당한 보상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상담사례
교통사고로 차량에 '중대한 손상'을 입어 수리 후에도 가격이 떨어졌다면, 사고 관련 증빙자료를 통해 이를 입증하여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민사판례
자동차 사고로 차를 수리했지만, 완벽하게 원상복구되지 않아 중고차 가격이 떨어졌다면, 수리비 외에 가치 하락분에 대한 손해배상도 받을 수 있다. 특히, 차량의 주요 골격 부분이 손상되는 등 '중대한 손상'이 있는 경우에는 수리 후에도 잠재적인 결함이 남아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가치 하락이 인정될 가능성이 크다.
상담사례
차량 뼈대 등 핵심 부분 손상으로 인한 '중대한 손상' 사고 시, 수리 후 가치 하락분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하며, 손상 여부는 종합적 판단을 거쳐 입증 책임은 청구인에게 있다.
상담사례
교통사고 수리 후 차량 시세 하락 보상은 '중대한 손상'(차량 뼈대, 엔진 등 중요 부분 손상) 발생 시 가능하며, 사고 경위, 파손 부위, 수리 방법, 차량 연식, 수리비 비율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결정된다.
민사판례
사고로 물건이 망가졌을 때 수리 후에도 완벽하게 고쳐지지 않은 부분이 있다면, 수리비뿐만 아니라 수리 안 된 부분 때문에 떨어진 물건 값어치(교환가치 감소액)도 배상받을 수 있습니다.
민사판례
남의 물건을 망가뜨렸을 때 수리해도 완벽하게 원래대로 돌아오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수리비뿐만 아니라 수리 후에도 남은 하자로 인해 떨어진 물건 가치(감가상각)에 대해서도 배상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