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3.06.11

민사판례

노동능력상실률, 의사 말만 듣고 정하는 건 아니에요!

교통사고 등으로 다쳤을 때, 손해배상을 받으려면 노동능력상실률을 따져봐야 합니다. 그런데 이 노동능력상실률을 정하는 게 생각보다 복잡합니다. 의사 소견만 듣고 뚝딱 정해지는 게 아니거든요. 오늘은 노동능력상실률을 어떻게 정하는지, 법원은 어떤 기준으로 판단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핵심은 '맥브라이드 평가 방식'만으로는 부족하다!

노동능력상실률을 평가할 때 자주 쓰이는 방법이 '맥브라이드 방식'입니다. 신체 장애 정도에 따라 정해진 표를 이용해서 노동능력상실률을 계산하는 방식이죠. 그런데 법원은 맥브라이드 방식을 절대적인 기준으로 삼지 않습니다. 왜 그럴까요?

의사 소견은 참고자료일 뿐, 최종 결정은 법원의 몫!

의사의 신체 감정 결과는 물론 중요합니다. 전문적인 의학 지식이 필요한 부분이니까요. 하지만 법원은 이것을 '보조자료'로 활용할 뿐, 최종 결정은 법원이 내립니다. (민법 제763조(제393조) 참조)

법원은 의사 소견 외에도 다양한 요소를 고려합니다. 피해자의 나이, 성별, 교육 수준, 직업, 사회적·경제적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노동능력상실률을 정하는 것이죠. 예를 들어 똑같은 부상을 입었더라도 20대 젊은 청년과 60대 어르신의 노동능력상실률은 다를 수 있습니다.

나이에 따른 수정치? 무조건 적용되는 건 아닙니다!

맥브라이드 방식에는 나이에 따라 노동능력상실률을 조정하는 '수정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나이가 많을수록 수정치가 커져서 노동능력상실률이 높아지는 식입니다. 하지만 법원은 이 수정치도 무조건 적용하지는 않습니다. 피해자의 구체적인 상황을 고려해서 수정치를 적용할지, 적용한다면 얼마나 적용할지 판단합니다. (대법원 1992.1.21. 선고 91다36628 판결 등 참조)

결론: 개별 상황에 맞춘 꼼꼼한 판단이 중요!

노동능력상실률은 단순히 의학적 판단만으로 정해지는 것이 아닙니다. 법원은 의사 소견을 포함하여 피해자의 다양한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공정하게 판단합니다. 따라서 만약 사고로 다쳤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상황에 맞는 정당한 배상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눈 부상으로 일 못하게 됐을 때, 배상은 어떻게 받나요? (노동능력상실률 계산)

눈 부상으로 인한 노동능력상실률을 계산할 때, 서로 다른 장애 평가 기준표(맥브라이드표)를 섞어서 사용하면 안 되고, 단순히 의학적 판단만이 아닌 나이, 직업, 교육 수준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눈 부상#노동능력상실률#맥브라이드표 혼용 금지#다양한 요소 고려 (나이

민사판례

무릎 다쳤는데, 장해 판단 기준이 뭐죠? 노동능력상실률 계산, 제대로 알아보자!

교통사고로 인한 후유증으로 노동능력이 상실되었다고 주장할 때, 법원은 의학적 판단, 장해 평가 기준 적용, 그리고 피해자의 개별적인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공정하고 객관적인 판단을 내려야 한다.

#교통사고#후유증#노동능력상실#손해배상

민사판례

교통사고 후유증, 만성통증… 노동능력상실률은 어떻게 정할까?

교통사고로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을 겪는 환자의 손해배상액을 계산할 때, 맥브라이드표처럼 통증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는 방식을 사용하여 노동능력상실률을 평가하는 것은 부적절하며, 환자의 상태와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

#교통사고#복합부위통증증후군#노동능력상실률#맥브라이드표

민사판례

자동차 운전자의 노동능력상실률, 도시일용노동자와 같을까?

교통사고로 다친 자동차 운전자의 노동능력상실률은 단순 노무직인 도시일용노동자와 동일하게 볼 수 없으며, 운전 업무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개별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교통사고#운전자#노동능력상실률#도시일용노동자

민사판례

교통사고 후유장해, 노동능력상실률은 어떻게 정할까? 중복장해는?

교통사고로 인한 후유장해의 노동능력상실률을 계산할 때, 의사의 신체감정서 내용을 그대로 적용할 필요는 없고, 법원은 피해자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여러 부위에 후유장해가 중복되는 경우에는 특정한 계산 방식을 통해 노동능력상실률을 산정해야 한다.

#교통사고#후유장해#노동능력상실률#신체감정서

상담사례

교통사고 후유증, 제대로 보상받자! (일실이익 & 노동능력상실률)

교통사고로 인한 일실이익 보상은 노동능력상실률을 기준으로 산정되는데, 이는 나이, 직업, 교육 수준 등 개인의 상황과 장애 정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미래 소득 손실을 예측하는 과정이다.

#교통사고 후유증#일실이익#노동능력상실률#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