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병원의 환자 유인 행위와 퇴원 거부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병원의 사례를 통해 의료법과 정신보건법 위반 여부를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죠.
환자 유인, 영리 목적이라면 불법!
○○○병원은 노숙인들을 데려오기 위해 직원들을 고용하고, 이들에게 급여와 활동비를 지급했습니다. 이 직원들은 노숙인들에게 담배, 생필품 등을 제공하겠다고 약속하며 병원으로 데려왔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과연 합법일까요?
법원은 이를 불법으로 판단했습니다.
의료법 제27조 제3항은 영리 목적으로 환자를 유인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영리 목적'이란 경제적 이익을 얻기 위한 목적을 뜻합니다. 중요한 것은, 환자를 유인하는 사람이 직접 이익을 얻지 않더라도, 병원 측이 이익을 얻는다면 영리 목적의 환자 유인에 해당한다는 점입니다. 또한, '불특정 다수인'이란 단순히 행위 당시 상대방이 정해지지 않았다는 의미가 아니라, 특수한 관계로 한정된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노숙인들처럼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했다 하더라도 불특정 다수인에 해당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병원의 경우, 병원장이 직원들을 통해 노숙인들을 유인하여 병원과 치료위임계약을 맺도록 했습니다. 이를 통해 병원은 경제적 이익을 얻었고, 노숙인들은 불특정 다수인에 해당하므로, 의료법 위반에 해당한다고 법원은 판단했습니다.
환자의 퇴원 요구, 거부할 수 없다!
○○○병원에 자의로 입원한 공소외 2는 퇴원을 신청했지만 병원 측은 이를 거부했습니다. 결국 공소외 2는 경찰에 신고하여 병원에서 나오게 되었습니다. 이 경우 병원 측의 행위는 어떻게 판단될까요?
이 역시 불법입니다.
정신보건법 제23조 제2항 (현행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제41조 제2항)은 자의 입원 환자가 퇴원을 신청하면 지체 없이 퇴원시켜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만약 환자의 퇴원 요구를 거부하고 방치한다면, 이는 불법 감금에 해당합니다.
○○○병원은 공소외 2의 퇴원 요구를 거부하고 계속 병원에 입원시켰으므로, 정신보건법 위반이자 감금죄에 해당한다고 법원은 판단했습니다.
이번 사례를 통해 환자 유인과 퇴원 거부에 대한 법원의 엄격한 판단 기준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병원은 환자의 권리 보호에 힘써야 하며, 이를 위반할 경우 법적 책임을 져야 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입니다.
관련 법 조항:
형사판례
의사도 돈을 벌 목적으로 환자를 유인하면 불법이며, 의사면허 정지와 별도로 형사처벌도 받을 수 있다.
형사판례
병원 직원이 저렴한 건강검진을 홍보하며 예약금을 받은 행위가 환자 소개·알선·유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다룬 판례입니다. 대법원은 병원 스스로 환자를 유치하는 행위는 금품 제공이나 의료시장 질서 교란 등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의료법 위반이 아니라고 판결했습니다.
형사판례
병원이 환자를 소개해준 사람에게 돈을 주는 것은 의료법 위반이며, 이런 행위가 관행이라거나 업계에 널리 퍼져있다는 이유로 정당화될 수 없다. 또한 이러한 돈 지급이 여러 번 이루어졌더라도 하나의 죄로 처벌될 수 있다.
상담사례
치료 필요성이 없어진 환자는 병원의 진료계약 해지 통보에 따라 퇴원해야 한다.
생활법률
정신의료기관 및 정신요양시설 퇴원/퇴소는 입원 유형(자의, 보호자 동의, 보호자 신청, 시군구청장, 응급, 정신재활시설)에 따라 절차와 조건(치료 필요성, 위험성 등)이 다르며, 대부분 본인 신청 시 즉시 가능하지만, 경우에 따라 거부 또는 연장될 수 있다.
형사판례
아내를 정신병원에 불법으로 강제 입원시키고, 퇴원을 조건으로 재산을 넘겨받은 남편의 행위는 공갈죄로 인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