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매직(MAGIC)"이라는 상표를 본 적 있으신가요? 오늘은 이 상표와 관련된 흥미로운 판결 이야기를 들려드리려고 합니다.
어떤 회사가 "orland MAGIC"이라는 글자와 도형을 결합한 상표를 출원했는데, 이미 등록된 "매직(MAGIC)" 상표와 유사하다는 이유로 거절당했습니다. 출원 회사는 이에 불복하여 소송까지 진행했는데, 대법원에서도 결국 패소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출원된 상표에는 "orland"라는 글자와 도형이 함께 있었지만, "MAGIC"이라는 부분이 크고 뚜렷하게 표시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법원은 일반 소비자들이 상표를 볼 때 도형보다는 "MAGIC"이라는 글자에 먼저 눈길이 갈 것이고, 따라서 기존 "매직(MAGIC)" 상표와 혼동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습니다. 도형과 글자가 완전히 붙어있는 것이 아니라 따로따로 분리해서 볼 수 있다는 점도 중요한 판단 근거였습니다.
즉, 상표의 일부분이 기존 상표와 동일하고, 그 부분이 눈에 잘 띄어 혼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면 전체적으로 다른 디자인이라도 유사 상표로 판단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판결은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7호를 근거로 하고 있습니다. 해당 조항은 타인의 등록상표와 유사한 상표를 등록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이번 판결은 상표의 유사 여부를 판단할 때 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하는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허판례
"MagicLand"와 "LAND"는 유사한 상표가 아니다. "LAND"라는 단어가 포함되어 있더라도, 전체적인 외관, 호칭, 관념을 고려했을 때 소비자가 혼동할 가능성이 없다. 특히 전기/전자 제품 분야에서는 "LAND"가 포함된 상표가 많아 식별력이 약해졌다.
특허판례
"매직스타"와 "매직쉐프"는 일부 단어가 겹치더라도 전체적인 모양, 발음, 의미를 고려했을 때 소비자가 혼동할 가능성이 낮아 유사한 상표가 아니라고 판결.
특허판례
미국 프로농구팀 '댈러스 매버릭스'의 명칭과 심볼마크를 결합한 상표 등록이 거절된 사례. 이미 유사한 상표가 존재하고, '댈러스'는 도시 이름이라 식별력이 부족하며, 상표의 각 구성요소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지 않아 분리하여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이 주요 이유.
특허판례
독수리 그림과 "Eagleland"라는 글자가 결합된 상표가 기존에 등록된 독수리 그림 상표와 유사하여 등록 거절된 사례. 두 상표 모두 소비자에게 '독수리'라는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고, 발음도 유사하여 혼동을 야기할 수 있다고 판단.
특허판례
전기밥솥 등에 사용될 "MAGIC JAR" 상표가 기존 "MAGIC + 매직" 상표와 유사하여 등록 거절된 사건에서, 대법원은 두 상표가 유사하지 않다고 판결하여 출원상표 등록을 허용했습니다. "MAGIC"이라는 단어는 해당 상품군에서 흔하게 쓰여 식별력이 약하고, "JAR"는 일부 상품에서는 식별력이 있기 때문입니다.
특허판례
"It's Magic(잇스매직)"은 상품 출처를 구분하는 식별력이 없어 상표 등록이 거절되었습니다. 누구나 흔히 쓸 수 있는 표현이고, 상품의 품질을 단순히 묘사하는 광고 문구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