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6.11.15

일반행정판례

농지전용 시 납부하는 농지조성비, 행정청의 확인서 발급은 행정처분일까?

농지를 다른 용도로 사용하려면 여러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그중 하나가 농지조성비 등의 납부입니다. 이 농지조성비는 농지 전용으로 인해 줄어드는 농지를 보전하기 위한 재원으로 사용됩니다. 그런데 이 농지조성비 납부 과정에서 행정청이 발급하는 확인서가 행정처분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판례가 있어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사건의 개요

건물을 신축하기 위해 농지를 전용한 원고는 관할 구청(피고)으로부터 농지조성비와 전용부담금 납부 요청을 받았습니다. 원고는 자진 납부 의사를 밝히고 피고로부터 '농지전용협의에 따른 농지조성비 전용부담금내역확인서'를 발급받아 금액을 납부했습니다. 이후 원고는 해당 확인서 발급 행위가 행정처분에 해당한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핵심 쟁점은 행정청이 발급한 확인서가 행정처분에 해당하는지 여부였습니다. 행정처분이란 행정청이 공권력을 행사하여 국민의 권리 의무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행위를 말합니다. 만약 확인서 발급이 행정처분이라면, 이에 불복하는 경우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행정소송법 제1조)

법원은 농지의보전및이용에관한법률시행령 제8조 제3항, 같은 법 시행규칙 제8조의4 등 관련 법령을 검토한 결과, 행정청이 발급한 확인서는 단순한 사무적 행위에 불과하며, 농지조성비 등을 부과하는 행정처분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즉, 확인서 자체가 농지조성비 납부 의무를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농지 전용이라는 사실 자체가 납부 의무의 근거가 된다는 것입니다. 확인서는 단지 납부 금액의 산출 근거 등을 알려주는 안내 문서의 성격을 가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고의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판례의 의미

이 판례는 농지전용과 관련하여 행정청이 발급하는 확인서의 법적 성격을 명확히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단순히 납부 금액을 확인해주는 문서 발급 행위 자체는 행정처분이 아니라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참고 조문)

  • 행정소송법 제1조[행정처분일반]
  • 구 농지의보전및이용에관한법률(1994. 12. 22. 법률 제4817호 농지법에 의하여 폐지) 제4조
  • 농지의보전및이용에관한법률시행령 제8조 제3항
  • 농지의보전및이용에관한법률시행규칙 제8조의4

(판례 정보)

  • 부산고등법원 1996. 6. 21. 선고 94구3865 판결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농지조성비 자진납부 후 부과처분 취소 소송, 누구를 상대로 해야 할까?

농지 전용 허가를 받으면서 농지조성비와 전용부담금을 자진 납부한 경우, 농어촌진흥공사를 상대로 부과처분 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 납부 요구와 확인서 발급은 단순 사무 행위일 뿐, 부과처분에 해당하지 않는다.

#농지조성비#전용부담금#자진납부#부과처분 취소소송

일반행정판례

농지전용부담금, 꼭 내야 할까? 농지의 정의와 부담금 납부 의무에 대한 판례 해설

농지가 아닌 땅에 농지전용부담금을 부과한 처분은 위법하며, 부담금을 이미 냈더라도 부과처분 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농지전용부담금#부과처분취소#실제현황#자진납부후소송

일반행정판례

농지조성비 및 전용부담금 부과처분에 대한 소송, 누구를 상대로 해야 할까?

농지 전용에 따른 농지조성비와 전용부담금 부과처분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할 때, 누구를 상대로 소송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돈을 낸 사람에게 직접 고지서를 보낸 농어촌진흥공사가 피고가 되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농지조성비#전용부담금#부과처분#취소소송

일반행정판례

농지 전용 시 농지조성비 납부, 언제 해야 할까?

옛날 농지전용 시 납부해야 했던 농지조성비는 도시계획 등으로 미리 농지전용 협의를 받았더라도 실제 농지를 전용할 때 납부 의무가 생긴다는 판결.

#농지전용#농지조성비#납부시점#실제전용시점

일반행정판례

농지 전용 신고 반려와 행정심판, 그리고 행정소송 이야기

행정심판 청구는 엄격한 형식에 얽매이지 않으며, 내용이 명확하다면 접수되어야 한다. 또한, 앞선 행정처분(선행처분)과 관련된 후속 행정처분(후행처분)은 선행처분에 대한 심판만으로도 후행처분에 대한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행정심판#청구방식#형식요건 완화#선행 행정처분

형사판례

농지조성비 납입고지서, 이것도 공문서일까?

한국농어촌공사(당시 농어촌진흥공사)가 발행한 농지조성비 납입고지서는 공문서로 인정된다. 따라서 이를 변조하는 행위는 공문서변조죄에 해당한다.

#농지조성비#납입고지서#공문서#변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