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2.04.12

특허판례

누들로드 vs ○○피자, 상표권 분쟁 승리!

상표권 분쟁, 특히 음식 관련 사업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고민해 보셨을 텐데요. 오늘은 상표의 유사성 판단에 대한 흥미로운 사례를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바로 "누들로드"와 "○○피자"의 상표권 분쟁 이야기입니다.

한국방송공사(KBS)는 "누들로드"라는 상표를 출원했는데요. 지정상품은 국수, 피자, 스파게티, 파스타, 면류 등이었습니다. 그런데 특허청은 이미 등록된 "○○피자" 상표와 유사하다는 이유로 "누들로드" 상표 등록을 거절했습니다. "피자"라는 공통된 지정상품 때문에 문제가 된 것이죠.

KBS는 이에 불복하여 특허법원에 소송을 제기했고, 승소했습니다. 그리고 특허청이 다시 대법원에 상고했지만, 대법원 역시 KBS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대법원은 왜 "누들로드"와 "○○피자"가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했을까요? 핵심은 바로 상표의 전체적인 인상과 소비자의 인식입니다.

대법원은 상표의 유사 여부를 판단할 때 외관, 호칭, 관념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단순히 일부분만 같다고 해서 유사하다고 볼 수는 없다는 것이죠. 소비자들이 실제로 상품을 구매할 때 상표를 어떻게 인식하는지가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됩니다.

이 사건에서 "누들로드"는 "로드" 부분만 떼어내서 생각하기 어렵고, 전체적으로 "누들(국수)이 전파된 경로"라는 독특한 의미를 갖고 있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피자"와는 외관, 호칭, 관념 모두 다르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비록 두 상표 모두 "피자"를 지정상품으로 포함하고 있지만, 소비자들이 상품 출처를 혼동할 가능성은 낮다고 본 것이죠.

이 판례는 상표의 유사성 판단에 있어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상표의 일부분이 동일하더라도 전체적인 인상과 소비자의 인식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상표가 갖는 독특한 의미나 관념이 유사성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참고 법조항: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7호 (상표등록을 받을 수 없는 상표)

참고 판례: 대법원 1982. 6. 8. 선고 81후29 판결, 대법원 2006. 8. 25. 선고 2005후2908 판결 등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미스터피자, 상표권 분쟁에서 승리하다!

'MR. PIZZA'와 'mister PIZZA'는 문자 부분이 식별력이 없고, 그림 부분이 서로 달라 유사한 서비스표로 볼 수 없다는 판결.

#서비스표#유사성#식별력#MR. PIZZA

특허판례

국수 상표권, 밀가루 회사의 주장은 왜 받아들여지지 않았을까?

유명 밀가루 회사가 자사 상표와 유사한 국수 상표의 갱신을 무효로 주장했지만, 해당 상표가 국수 분야에서는 인지도가 낮아 소비자 혼동을 일으키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갱신이 유효함을 인정한 사례.

#밀가루#국수#상표권#갱신

특허판례

상표권 침해, 어디까지 인정될까? - 수요자 기만 여부 판단 기준

다른 회사의 상표와 비슷한 상표를 등록하려면, 단순히 비슷한 것만으로는 안 되고, 기존 상표가 소비자들에게 어느 정도 알려져 있어서 새로운 상표가 사용될 경우 소비자들이 상품 출처를 혼동할 만큼 유사해야 합니다. 단 한 차례의 수입만으로는 소비자들에게 알려졌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상표#등록무효#수요자기만성#인지도

특허판례

OK, 상표권 침해일까? 아닐까? - 유사상표 판단 기준

'OK'를 도형화하고 파도 모양을 추가한 상표와 'O.K.E.' 상표는 유사하지 않다는 판결. 'OK' 부분은 특별현저성이 없어 상표 유사성 판단에서 제외되기 때문.

#상표#유사성#OK#특별현저성

특허판례

'SANTA RITA' 상표, 유사상표 논란에서 승리!

'SANTA RITA'라는 상표는 기존 상표 중 'SANTA'라는 부분이 포함된 상표와 유사하지 않다고 판결. 상표의 일부가 같더라도 전체적인 느낌과 호칭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

#상표#유사성#SANTA RITA#SANTA

특허판례

상표권 분쟁, 핵심은 '소비자 혼동'!

새로운 상표에 그림이 들어가 있어도, 핵심 단어가 기존 상표와 같다면 유사 상표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상표#유사#그림#핵심 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