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의 농성장 진입 제지, 적법한 공무집행이었나?
○○차 대책위는 덕수궁 대한문 앞 인도에서 장기간 농성을 벌였습니다. 구청의 행정대집행으로 농성 시설물이 철거되었지만, 대책위는 다시 농성을 시도했고, 경찰은 이를 막기 위해 현장에 출동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대책위 관계자들과 경찰 사이에 물리적 충돌이 발생했고, 일부 관계자들은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1심과 2심 법원은 경찰의 농성장 진입 제지가 위법한 공무집행이라고 판단하여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그러나 대법원은 이를 뒤집고 유죄 취지로 사건을 파기환송했습니다. 대법원은 경찰의 조치가 적법한 공무집행이었는지를 판단하는 기준과, 이 사건에서 경찰의 행위가 왜 적법한 공무집행에 해당하는지를 상세히 설명했습니다.
공무집행방해죄, 적법한 공무집행이 전제되어야
공무집행방해죄가 성립하려면, 방해 대상이 된 공무집행이 적법해야 합니다. 공무집행의 적법성은 단순히 공무원의 권한 범위에 속하는 행위인지 여부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행위 당시의 구체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대법원 1991. 5. 10. 선고 91도453 판결, 대법원 2013. 8. 23. 선고 2011도4763 판결).
경찰의 제지 조치, 범죄 예방 위한 즉시강제
이 사건에서 경찰은 구 경찰관 직무집행법 제6조 제1항에 따라 농성장 진입을 제지했습니다. 이 조항은 경찰관이 범죄행위가 임박했다고 판단될 때, 특히 인명·신체·재산에 대한 위험이 긴급한 경우, 즉시 제지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범죄 예방을 위한 경찰 행정상 즉시강제에 해당합니다 (대법원 2008. 11. 13. 선고 2007도9794 판결, 대법원 2013. 6. 13. 선고 2012도9937 판결, 대법원 2021. 9. 30. 선고 2014도17900 판결).
대법원, 경찰의 진입 제지 적법하다고 판단
대법원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경찰의 진입 제지가 적법한 공무집행이라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대법원은 경찰의 진입 제지는 범죄 예방을 위한 적법한 공무집행이었고, 이를 방해한 대책위 관계자들의 행위는 공무집행방해죄에 해당한다고 판단했습니다.
관련 법조항:
이 판결은 공무집행방해죄에서 '직무집행의 적법성' 판단 기준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경찰의 즉시강제 조치의 적법성 요건을 명확히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형사판례
장기간 불법 농성이 있었던 장소에서 행정대집행 직후, 경찰이 추가적인 불법 행위를 막기 위해 해당 장소를 둘러싸고 기자회견을 위한 진입을 제지한 것은 적법한 공무집행이며, 이를 밀치는 등의 행위는 공무집행방해죄에 해당한다.
형사판례
경찰이 금지된 집회 참가를 위해 다른 지역에서 이동 중인 사람을 제지한 것은 위법하다. 집회 장소와 시간적으로 멀리 떨어진 곳에서의 이동을 제지하는 것은 경찰의 권한을 넘어선 것이다.
민사판례
장기간 농성과 충돌이 반복되던 집회 현장에서 경찰이 질서 유지를 위해 집회 장소를 점거하고 해산 명령을 내린 것이 위법한 공무집행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 대법원은 당시 상황과 과거의 경험 등을 고려하면 경찰의 조치가 객관적 정당성을 잃었다고 볼 수 없어 국가배상책임이 없다고 판결함.
형사판례
법외 노조가 구청 사무실을 불법 점거하여 사용하자 구청이 행정대집행을 통해 퇴거를 시도했는데, 노조원들이 이를 방해하여 공무집행방해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사례.
형사판례
경찰이 영장 없이 집에 들어가려는 것을 막았다고 공무집행방해죄로 처벌할 수 없다.
형사판례
벌금 5만원 이하 등의 경미한 범죄 현행범을 경찰이 영장 없이 강제 연행하려 할 때, 이를 막기 위해 경찰에게 폭행을 가했더라도 공무집행방해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판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