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6.07.12

형사판례

도박 빚 때문에 칼 들고 협박하다 사람이 다쳤다면? - 강도치상죄 성립

안녕하세요. 오늘은 도박 빚 때문에 칼을 들고 협박하다가 사람이 다치게 된 사건을 통해 강도치상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피고인은 친구들과 도박을 하다가 3,200만 원을 잃었습니다. 돈을 되찾기 위해 후배들을 불러 피해자를 협박하기로 마음먹었죠. 피고인은 식칼을 들고 피해자에게 돈을 내놓으라고 협박했습니다. 피해자는 겁에 질려 방문을 잠그고 버텼지만, 피고인은 문을 부수고 들어왔습니다. 칼을 든 피고인과 그의 일행들을 보고 극도의 공포에 질린 피해자는 베란다 창문으로 뛰어내려 허리를 다쳤습니다. 결국 피고인의 일행은 정신을 잃은 피해자에게서 돈을 빼앗았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피고인의 행위를 강도치상죄로 판단했습니다. 피고인이 칼을 들고 협박하는 행위와 피해자가 창문에서 뛰어내려 다친 것 사이에는 인과관계가 있다고 본 것이죠. 피고인은 피해자가 돈을 뺏기지 않으려고 저항하다가 다칠 수 있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강도치상죄란 무엇일까요?

강도치상죄는 폭행이나 협박을 통해 재물을 빼앗으려다 사람을 다치게 하는 범죄입니다. 이 사건에서 피고인은 돈을 빼앗기 위해 칼을 들고 협박했고, 그 결과 피해자가 다쳤기 때문에 강도치상죄가 성립합니다. 단순히 돈을 빼앗으려고 협박만 했다면 강도죄에 해당하지만, 피해자가 다쳤기 때문에 더 무거운 죄인 강도치상죄로 처벌받게 된 것입니다.

핵심 포인트

  • 폭행/협박으로 재물 강취 시도 + 상해 발생 = 강도치상죄
  • 상해 발생에 대한 예견 가능성이 중요한 판단 기준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구 형법(1995. 12. 29. 법률 제505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37조
  • 대법원 1978. 7. 11. 선고 78도1331 판결
  • 대법원 1991. 10. 25. 선고 91도2085 판결
  • 대법원 1995. 5. 12. 선고 95도425 판결

이번 사건은 돈을 빼앗으려는 과정에서 폭력을 행사하고, 그 결과 피해자가 심각한 상해를 입었다는 점에서 강도치상죄의 심각성을 보여줍니다. 불법적인 방법으로 돈을 되찾으려는 행위는 절대 해서는 안 되며, 그 과정에서 타인에게 피해를 입히는 경우 더욱 엄중한 처벌을 받게 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칼 들고 협박해서 빚 대신 갚으라는 각서 받으면 강도죄?

폭력이나 협박으로 돈 대신 빚보증 각서를 쓰게 하는 것처럼, 법적으로 효력이 없더라도 겉보기에 재산상 이익을 얻는 것처럼 보이면 강도죄가 성립한다.

#강도죄#강제이득죄#재산상 이익#협박

형사판례

사기도박 후 돈 돌려받은 것, 강도죄일까?

사기도박으로 돈을 잃은 피고인이 돈을 딴 피해자에게 돈을 돌려달라고 하면서 다소의 강제력을 행사했지만, 법원은 이를 강도죄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원심을 파기하고 환송했습니다.

#사기도박#강도죄#폭행/협박#피해자 진술 신빙성

형사판례

빚 받으려다 폭행하면 강도죄?!

돈을 빌려준 사람에게 빚 회수를 부탁받았더라도, 빚진 사람을 폭행하거나 협박해서 돈을 받아내면 강도죄가 성립합니다.

#빚 회수#폭행#협박#강도죄

형사판례

돈 돌려달라는 사람 협박하면 강도죄? 재산상 이익과 강도죄의 관계

돈을 빌려준 뒤 폭력을 써서 갚지 않아도 되게 만든 경우, 비록 빌려준 돈 자체를 빼앗아 오지 않았더라도 강도죄가 성립할 수 있다. 돈을 돌려받을 권리를 폭력으로 없앤 것 자체가 '재산상의 이익'을 얻은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강도죄#강제이득죄#재산상 이익#채무면탈

형사판례

돈 빌려준 후 협박으로 돈 받아낸 사건, 강도죄일까?

돈을 빌려준 사람이 돈을 갚으라고 협박하며 돈을 받아냈더라도, 그 협박의 정도가 상대방을 완전히 제압할 정도가 아니라면 강도죄가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

#강도죄#협박#채권추심#폭행

형사판례

강도가 도주 중 피해자를 다치게 하면 어떤 죄일까요?

강도가 훔친 물건을 가지고 피해자와 함께 도주하다가 1시간 20분 후에 피해자를 다치게 한 경우에도 강도상해죄가 성립한다.

#강도상해죄#시간 간격#도주#상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