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을 빌려주면서 담보를 받았는데, 돈을 떼였다면 어떤 죄로 고소해야 할까요? 오늘은 돈을 빌려주면서 채권을 담보로 받았지만, 채무자가 담보로 제공한 채권을 먼저 회수해서 써버린 경우, 사기죄와 횡령죄 중 어떤 죄가 성립하는지에 대한 판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피고인은 돈을 빌리면서 갚지 못할 것을 알면서도 갚겠다고 거짓말을 하고, 돈을 빌려준 피해자에게 다른 사람에게 받을 돈(채권)을 담보로 제공했습니다. 그런데 피고인은 피해자에게 채권을 양도했다고 알리기도 전에 그 채권을 직접 회수해서 써버렸습니다. 이에 피고인은 사기죄와 횡령죄로 기소되었습니다. 1심과 2심 법원은 피고인에게 사기죄와 횡령죄를 모두 유죄로 인정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사기죄와 횡령죄가 모두 성립하는 것은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여러 범죄가 성립하는 것처럼 보이더라도, 실제로는 하나의 사건에 대해 하나의 죄만 성립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범죄의 비양립성'**이라고 합니다.
이 사건에서 피고인의 행위는 다음 두 가지 경우 중 하나에 해당합니다.
즉, 피고인이 담보를 제공할 진짜 의사가 있었는지에 따라 적용되는 죄가 달라집니다. 대법원은 원심이 이 부분을 제대로 살피지 않고 사기죄와 횡령죄를 모두 인정한 것은 잘못이라고 판단하여 사건을 다시 재판하도록 돌려보냈습니다.
관련 법조항
핵심 정리
이 판례는 돈을 빌리면서 담보를 제공한 후 담보를 빼돌린 경우, 사기죄와 횡령죄 중 어떤 죄가 적용되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핵심은 피고인이 진짜로 담보를 제공할 의사가 있었는지 여부입니다. 이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양도된 채권의 가치, 채권양도에 대한 피고인의 진정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형사판례
빚을 갚는 담보로 다른 사람에게 받을 돈(채권)을 제공했는데, 채무자가 그 채권으로 받은 돈을 멋대로 써버린 경우, 횡령죄가 아닌 단순한 민사상 채무불이행이다.
형사판례
돈을 빌린 사람(채무자)이 빚을 갚기 위해 기계를 넘겨주었지만, 실제로 빚이 완전히 없어진 것이 아니고 단지 담보로 제공한 것에 불과한 경우, 채무자가 다른 사람에게 그 기계를 다시 담보로 제공하거나 처분했다고 해서 사기죄나 횡령죄로 처벌할 수는 없다는 판결입니다.
형사판례
돈을 빌려주고 채무자가 소유한 동산을 담보로 받았는데, 채무자가 담보를 처분해 버렸더라도 배임죄는 성립하지 않는다. 돈을 빌려준 채권자와 돈을 빌린 채무자의 관계는 단순한 계약 관계이지, 채무자가 채권자의 재산을 관리하는 신임 관계가 아니기 때문이다.
형사판례
빌려준 돈을 돌려받지 못한 사람이 담보로 잡은 부동산을 팔았더라도, 갚아야 할 돈의 액수에 대해 다툼이 있었다면 횡령죄로 처벌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형사판례
돈을 빌리면서 다른 채권을 담보로 제공한 채무자가 그 담보를 다른 사람에게 또 양도한 경우, 배임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대법원 판결. 단순히 계약상 의무를 위반한 것일 뿐, 타인의 재산 관리를 위탁받은 것은 아니라는 판단.
형사판례
돈을 빌려주고 채무자가 담보로 제공한 동산(예: 자동차)에 저당권을 설정했는데, 채무자가 그 담보를 다른 사람에게 팔아버린 경우, 채무자에게 배임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