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3.03.28

형사판례

돌고래 불법 포획과 처벌, 법은 어떻게 판단했을까?

최근 돌고래 불법 포획과 관련된 판결이 있었습니다. 이번 판결은 수산업법 위반으로 포획된 돌고래를 매수하여 소지, 보관한 행위에 대한 처벌의 적법성 여부가 쟁점이었습니다. 복잡한 법률 용어가 많이 등장하지만, 핵심은 '처벌 근거가 되는 법 조항이 너무 모호하게 만들어진 것은 아닌가?' 하는 것입니다.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쟁점: 포괄위임입법금지 원칙 위반 여부

피고인들은 "수산업법의 처벌 조항이 위헌"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헌법에는 '죄형법정주의'라는 중요한 원칙이 있습니다. 모든 범죄와 형벌은 반드시 국회에서 제정한 법률로 정해야 한다는 원칙이죠. 국회가 법률로 정해야 할 내용을 대통령령이나 부령 등 하위 법령에 너무 포괄적으로 위임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데, 이를 '포괄위임입법금지 원칙'이라고 합니다. 피고인들은 돌고래 포획 금지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이 법률이 아닌 하위 법령에 정해져 있으므로, 이 처벌 조항이 위헌이라고 주장한 것입니다.

법원의 판단: 죄형법정주의 위반 아니다

법원은 피고인들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즉, 죄형법정주의 위반이 아니라고 판단한 것이죠.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위임의 목적과 범위가 명확: 수산업법은 어업 단속, 위생 관리, 유통 질서, 어업 조정 등을 위해 하위 법령에 위임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법원은 이러한 위임의 목적과 범위가 법률에 충분히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다고 보았습니다.
  • 예측 가능성: 어업인들은 조업 구역, 포획·채취 가능한 수산 동식물에 대한 제한을 대체적으로 예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위 법령에 어떤 내용이 담길지 충분히 예상 가능하다는 것이죠.
  • 수산업의 특수성: 끊임없이 변화하는 해양 생태계를 다루는 수산업의 특성상, 법률보다 탄력적인 하위 법령을 통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습니다.
  • 재위임의 적법성: 수산업법은 대통령령에 위임하고, 대통령령은 다시 농림수산식품부장관의 고시에 위임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 법원은 이러한 재위임 역시 위임받은 사항의 대강을 정하고 특정 사항을 범위 내에서 위임한 것이므로 적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헌법 제12조 제1항, 제75조, 제95조
  • 형법 제1조 제1항
  • 구 수산업법 (2009. 4. 22. 법률 제9626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제53조 제1항 제8호, 제73조, 제95조 제8호
  • 구 수산업법 (2010. 4. 15. 법률 제1027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61조 제1항 제5호
  • 구 수산자원관리법 (2010. 4. 15. 법률 제1027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7조, 제64조 제1호
  • 대법원 2002. 11. 26. 선고 2002도2998 판결
  • 헌법재판소 1996. 2. 29. 선고 94헌마213 전원재판부 결정

결론적으로 법원은 수산업 관련 법률의 위임 조항이 죄형법정주의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수산업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하위 법령에 일정 부분 위임하는 것은 불가피하며, 이 경우에도 위임의 목적과 범위가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어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한 판결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어선 개조 금지, 정당한가요? - 포괄위임입법과 재위임 한계에 대한 법원의 판단

수산자원보호를 위한 정부의 세부 규정이 위임입법의 한계를 벗어난 것이 아니라는 판결. 어선의 설비 등을 제한하는 세부 내용을 정부에 위임한 것이 지나치게 포괄적이거나, 위임받은 내용을 다시 다른 곳에 위임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

#수산자원보호령#위임입법#어선설비 제한#해양수산부 고시

형사판례

어업허가증 미소지 처벌, 위헌 결정!

어업 허가증 등을 배에 갖추지 않았다고 처벌하는 수산자원보호령 조항은 위헌이라는 대법원 판결. 상위법인 수산업법에서 그런 처벌 규정을 만들 권한을 주지 않았기 때문.

#어업허가증#미소지#위헌#죄형법정주의

형사판례

어업허가증 미소지, 과연 죄일까? - 죄형법정주의와 위임입법 한계에 대한 고찰

어선에 어업허가장을 비치 또는 휴대하지 않은 어업 종사자를 처벌하는 수산자원보호령 조항이 죄형법정주의에 위배되어 무효라는 대법원 판결. 상위법인 수산업법에서 그러한 처벌 규정을 만들 권한을 위임하지 않았기 때문.

#어업허가장#미소지 처벌#위헌#죄형법정주의

형사판례

허가받지 않은 근해어업, 처벌될까?

허가받지 않은 근해어업은 처벌 대상이며, 허가 정수가 정해지지 않았더라도 위헌이라고 볼 수 없다.

#무허가 어업#근해어업#처벌#수산업법 위반

형사판례

스쿠버 다이빙으로 해산물 잡아도 괜찮았던 시절이 있었다?

어업인이 아닌 사람이 수산자원관리법 시행 이후, 관련 시행규칙(어구 사용 제한 등)이 만들어지기 *전*에 스쿠버 장비로 수산물을 채취한 경우, 처벌할 수 없다.

#스쿠버#수산물 채취#시행규칙#무죄

형사판례

금지된 수산물, 어떻게 처벌될까요? (수산업법 vs 수산자원보호령)

금지된 어획물을 소지, 운반, 판매 등의 행위를 할 경우, 수산업법 위반인지 수산자원보호령 위반인지에 따라 적용되는 법률이 다르다.

#수산자원보호령#수산업법#불법어획물#암컷대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