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1.11.12

형사판례

어업허가증 미소지 처벌, 위헌 결정!

혹시 낚시 좋아하시나요? 아니면 어업에 종사하시나요? 그렇다면 이 판결에 주목해주세요! 어업 관련 법규 위반으로 처벌받을 뻔했던 한 어민의 사례를 통해 중요한 법 원칙을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A씨는 어선을 운항하며 조업을 하던 중, 어업허가증을 선내에 비치하지 않아 수산자원보호령 위반으로 기소되었습니다. 당시 수산자원보호령은 어업허가증 등을 어선에 비치하지 않으면 처벌하도록 규정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A씨에게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수산자원보호령의 해당 조항이 헌법에 위배된다고 판단했습니다. 핵심은 죄형법정주의위임입법의 한계입니다.

  • 죄형법정주의: 죄와 형벌은 법률로 정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국가가 마음대로 범죄를 만들거나 처벌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위임입법의 한계: 국회가 법률로 정해야 할 중요한 사항을 행정부에 위임할 수는 있지만, 그 위임은 명확하고 제한적이어야 합니다. 행정부가 법률의 위임 범위를 넘어서는 안 된다는 뜻입니다.

이 사건에서 문제가 된 수산자원보호령은 상위법인 수산업법의 위임을 받아 제정된 하위법령(대통령령)입니다. 수산업법은 어구나 어선에 대한 제한이나 금지를 대통령령으로 정할 수 있도록 위임했습니다. 그러나 대법원은 어업허가증 비치 의무와 그 처벌 규정은 어구나 어선 자체에 대한 제한이나 금지와는 관련이 없다고 보았습니다. 즉, 수산자원보호령이 수산업법의 위임 범위를 벗어나 처벌 규정을 만든 것이죠.

쉽게 말해, 국회가 "어선의 크기나 종류를 제한하는 규칙은 정부가 만들어라"라고 했는데, 정부가 "어업허가증을 가지고 다니지 않으면 처벌한다"는 규칙까지 만든 셈입니다. 이는 국회의 권한을 침해하고 국민의 예측 가능성을 저해하는 것이기 때문에 허용되지 않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헌법 제12조 제1항, 제75조: 죄형법정주의 및 위임입법의 근거
  • 수산업법 (1990.8.1. 법률 제425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8조 제1항: 수산자원보호령에 대한 위임 규정
  • 수산자원보호령 제25조 제1항, 제31조 제1호: 어업허가증 비치 의무 및 처벌 규정 (무효로 판단됨)
  • 대법원 1991.10.22. 선고 91도1617 전원합의체판결, 1991.11.12. 선고 91도1560 판결: 이 사건의 판단 근거가 된 판례

결론:

이 판결은 죄형법정주의와 위임입법의 한계를 명확히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입니다. 법률의 해석과 적용에 있어서 상위법의 위임 범위를 벗어난 하위법령은 무효라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는 판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어업허가증 미소지, 과연 죄일까? - 죄형법정주의와 위임입법 한계에 대한 고찰

어선에 어업허가장을 비치 또는 휴대하지 않은 어업 종사자를 처벌하는 수산자원보호령 조항이 죄형법정주의에 위배되어 무효라는 대법원 판결. 상위법인 수산업법에서 그러한 처벌 규정을 만들 권한을 위임하지 않았기 때문.

#어업허가장#미소지 처벌#위헌#죄형법정주의

형사판례

위헌 결정으로 무죄가 된 어부 이야기

헌법재판소가 어떤 법률 조항이 위헌이라고 결정하면, 그 법률 조항을 근거로 처벌하는 규정도 효력을 잃습니다. 따라서 과거에 그 법률 조항을 어겼다는 이유로 유죄 판결을 받았더라도, 위헌 결정 이후에는 무죄가 됩니다.

#위헌#어업허가#무죄#소급효

일반행정판례

어선 개조 금지, 정당한가요? - 포괄위임입법과 재위임 한계에 대한 법원의 판단

수산자원보호를 위한 정부의 세부 규정이 위임입법의 한계를 벗어난 것이 아니라는 판결. 어선의 설비 등을 제한하는 세부 내용을 정부에 위임한 것이 지나치게 포괄적이거나, 위임받은 내용을 다시 다른 곳에 위임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

#수산자원보호령#위임입법#어선설비 제한#해양수산부 고시

형사판례

돌고래 불법 포획과 처벌, 법은 어떻게 판단했을까?

옛 수산업법과 수산자원관리법에서 어업 관련 금지행위를 대통령령 등 하위법령에 위임한 것이 죄형법정주의에 위배되는지 여부에 대한 판결. 대법원은 위배되지 않는다고 판단.

#수산업법#위임입법#죄형법정주의#돌고래

형사판례

허가받지 않은 근해어업, 처벌될까?

허가받지 않은 근해어업은 처벌 대상이며, 허가 정수가 정해지지 않았더라도 위헌이라고 볼 수 없다.

#무허가 어업#근해어업#처벌#수산업법 위반

일반행정판례

잠수기어업 허가와 신뢰보호 원칙, 그리고 헌법

충청남도의 잠수기어업 허가 건수를 제한한 법령이 헌법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판결. 행정청의 견해 표명만으로 신뢰보호원칙을 적용할 수 없으며, 수산자원 보호를 위한 허가 제한은 헌법상 기본권을 침해하지 않는다고 판단.

#잠수기어업#허가 정수 제한#헌법소원 기각#신뢰보호원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