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사례

두 명의 집주인, 한 명의 세입자 - 계약 해지는 어떻게 할까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조금 복잡한 임대차 문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바로 두 명의 집주인이 있는 경우 계약 해지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실제 사례를 통해 쉽게 설명드릴게요.

상황: 저는 A라는 집주인과 A 소유의 101호와 102호에 대한 하나의 임대차계약을 맺고, 두 호실을 하나의 사업장으로 사용하며 영업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102호가 경매로 B에게 넘어갔습니다. 제가 월세를 좀 늦게 내자, 새로운 주인 B는 저에게 월세 연체를 이유로 계약 해지 통지를 보냈습니다. B의 통지만으로 계약이 정말 해지되는 걸까요?

정답은 NO! 입니다. 왜 그럴까요?

법적으로는 공동임대인이 있는 경우, 계약 해지도 공동으로 해야 합니다. 쉽게 말해, 집주인이 여러 명이면 모든 집주인이 동의해야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민법 제547조 제1항에서는 "당사자의 일방 또는 쌍방이 여러 명인 경우에는 계약의 해지나 해제는 그 전원으로부터 또는 전원에 대하여 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법은 처음부터 집주인이 여러 명인 경우뿐 아니라, 저처럼 중간에 집의 일부가 다른 사람에게 넘어가 집주인이 두 명이 된 경우에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즉, 저의 경우 B는 102호의 새로운 주인이 되면서 A와 함께 공동임대인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B 혼자서 계약을 해지할 수는 없습니다. A와 B 두 사람 모두 동의해야만 전체 임대차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 것이죠. (물론, 계약 당시에 "각자 해지할 수 있다"는 특약을 넣었다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대법원 2015. 10. 29. 선고 2012다5537 판결에서도 이와 같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판례에서는 공동임대인 중 한 명이 단독으로 계약을 해지한 경우, 그 해지는 효력이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저의 경우, B가 단독으로 보낸 해지 통지는 효력이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A와 B 모두 동의하지 않은 해지 통지는 무효이기 때문입니다.

결론적으로, 공동임대인이 있는 경우 계약 해지는 모든 임대인의 동의가 필요하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복잡한 임대차 문제, 잘 이해하고 대비하여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여러 명이 집주인인 경우, 계약 해지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여러 명이 함께 임대인인 경우, 일부 임대인만의 의사로는 임대차 계약을 해지할 수 없고, 모든 임대인이 동의해야 계약 전체를 해지할 수 있다. 이는 임대차 계약 도중에 목적물의 일부가 팔려서 공동임대인이 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공동임대인#계약해지#전원동의#민법 제547조 제1항

상담사례

2기 차임 연체! 나 혼자 계약 해지할 수 있을까? (공동임대의 경우)

공동임대는 임대인 모두 동의해야 계약 해지가 가능하며, 일방적인 해지 통보는 특약이 없는 한 효력이 없다.

#공동임대#차임연체#계약해지#공동임대인 동의

상담사례

세입자가 월세 두 번이나 안 냈어요! 전차인에게도 계약 해지 알려야 할까요?

세입자가 월세를 2기 연체하면 집주인은 전차인에게 별도 통보 없이 세입자에게만 해지 통보하여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월세 2기 연체#계약 해지#전차인#통지 의무 면제

상담사례

상가 임차인, 월세 안 내는데… 나 혼자 쫓아낼 수 있을까? (공동임대인 상황)

상가 일부 양도로 공동임대인이 된 경우, 임차인의 대항력이 유지되므로 차임 연체 시에도 모든 공동임대인이 동의해야 계약 해지가 가능하다.

#상가임대차#차임연체#계약해지#공동임대인

민사판례

부부가 함께 운영하는 가게, 임대차 계약은 어떻게 될까요?

임차인이 임대인의 동의 없이 배우자에게 임차건물을 양도하고, 배우자가 기존 임차인과 같은 사업을 운영하는 경우, 임대인은 임대차 계약을 해지할 수 없다.

#임차권 양도#배우자#동일 사업#임대인 동의

민사판례

집주인 바뀌고 새 주인이 집 비워달라면, 세입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집주인이 바뀌고 새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집을 비워달라고 해서 세입자가 집을 비워준 경우, 원래의 임대차 계약은 자동으로 종료된다.

#임대차계약#집주인 변경#명도#이행불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