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현대 사회를 살아가면서 누구나 스트레스, 우울감 등 정신적인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혼자 힘들어하지 마세요. 나라에서 다양한 정신건강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정신건강 상담 및 지원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쉽게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1.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
정신건강증진사업(「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제3조제2호)을 통해 다음과 같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누가 이용할 수 있나요?
우울감 등으로 상담이 필요한 국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국가 지원 서비스(치료비, 사례관리 등)는 거주 지역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센터에서 정하는 요건을 갖추면 이용할 수 있습니다. 지원 내용 및 대상은 지자체 예산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거주지 관할 기관에 문의하여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제12조제4항 - 지자체는 정신건강증진사업 시행 시 관련 기관들이 서로 연계되도록 해야 함)
3. 어디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나요?
4. 다양한 무료 상담 서비스
5. 서울특별시 지원 사례
서울시에서는 마음건강검진 지원(19세 이상 서울시민, 1인당 최대 8만원 지원), 마음건강상담 지원(19세~39세 청년, 최대 7회기 상담), 병원 기반 사례관리 지원(퇴원 준비 중인 중증정신질환자)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특별시 블루터치 홈페이지(blutouch.net)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힘든 시간을 혼자 견디지 마세요. 주저하지 말고 도움을 요청하세요. 여러분의 마음 건강을 위해 국가와 지역사회가 함께 노력하겠습니다.
생활법률
취업, 진로, 생활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을 위해 정부와 지자체에서 온/오프라인 상담, 바우처 지원, 단기집단상담 등 다양한 마음건강 지원 정책을 제공하고 있다. (온라인 청년센터, 청년마음건강지원사업, 워크넷, 지역별 청년 지원 정책 등)
생활법률
정부는 우울증 등 정신질환 치료비 부담 완화를 위해 발병 초기, 응급입원, 행정입원, 외래치료, 권역정신응급의료센터 이용 시 지원하며, 소득, 질환, 지원 유형에 따라 지원 내용이 다르므로 관할 보건소에 문의해야 합니다.
생활법률
인천, 서울, 경기도 1인 가구 및 청년, 중장년을 위한 무료/지원 심리 검사, 상담, 프로그램 등 마음건강 지원 사업 정보 제공.
생활법률
마음 건강 회복을 위해 정신의료기관, 정신요양시설, 정신재활시설(생활, 재활훈련, 중독자재활 등)과 정신건강복지센터, 국가트라우마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 다양한 정신건강증진시설이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절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생활법률
우울감 등의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된다면 우울증을 의심해보고, 자가진단, 국가건강검진, 정신건강복지센터, 정부 지원 정책 등을 통해 전문적인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생활법률
자살 시도자는 연간 최대 100만 원의 치료비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생명사랑위기대응센터와 보건소를 통해 심리 상담, 법률 구조, 생계비 지원 등의 도움을 받을 수 있고, 자살 유족 또한 지원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