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문서 위조가 의심되는 상황에서 법원이 어떤 판단을 내렸는지, 흥미로운 사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핵심은 "의심스러울 땐 제대로 확인해야 한다!" 입니다.
사건의 개요
피고인 A는 B와 C에게 밀린 공사대금을 책임지고 지불하겠다는 인정서를 써줬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나중에 A는 B와 C가 자신을 형사처벌 받게 하려고 인정서를 위조했다며 무고죄로 고소했습니다. A는 B와 C에게 써준 건 다른 내용의 각서였는데, B와 C가 그 각서의 A의 주소, 이름, 도장 부분을 복사해서 인정서를 위조했다고 주장했습니다.
1심과 2심 법원의 판단
1심과 2심 법원은 증인들의 진술이 엇갈리고, 문서 감정 결과만으로는 위조 여부를 확정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A에게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하지만 대법원은 달랐습니다. 대법원은 "의심스러운 부분이 있다면 더 면밀히 조사했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A가 B와 C에게 써준 각서와, 문제가 된 인정서 상의 A의 주소, 이름, 도장 부분이 복사된 것인지 아니면 직접 쓴 것인지 감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음에도, 원심 법원이 이를 확인하지 않은 것은 잘못이라고 판단했습니다. 결국 대법원은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돌려보냈습니다. (형사소송법 제308조)
핵심 포인트
이 사례에서 중요한 점은 문서의 위조 여부를 판단할 때, 단순히 증인들의 진술이나 육안으로 보이는 것만으로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특히, 복사 등의 기술을 이용한 위조가 의심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감정 등의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진실을 밝혀야 한다는 것이 대법원의 입장입니다. 이 사건은 법원이 사실관계를 확정할 때 얼마나 신중해야 하는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형사판례
등기의무자가 아닌 다른 사람이 등기의무자 서명란에 도장을 찍었더라도, 법무사가 작성한 확인서면 자체는 법무사의 문서이므로 사문서 위조죄로 처벌할 수 없다.
형사판례
타인 명의의 문서를 위조하려면 단순히 이름만 도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인이 진짜 문서로 착각할 만큼 완벽한 형식과 외관을 갖춰야 사문서위조죄가 성립합니다.
민사판례
원고가 위조라고 주장하는 서류를 피고가 제출했는데, 법원이 이를 진짜 서류로 보고 판결을 내렸다가 대법원에서 파기되었습니다.
형사판례
위조된 문서를 복사기로 복사하는 행위도 문서위조에 해당한다.
형사판례
복사기, 사진기, 팩스 등으로 만든 복사본도 문서위조죄 및 위조문서행사죄의 대상이 됩니다.
형사판례
이 판례는 항소심에서 1심의 증인 신빙성 판단을 뒤집을 수 있는 경우, 사문서위조죄에서 문서로 인정되는 범위, 그리고 무고죄에서 허위사실 적시가 인정되는 정도에 대한 기준을 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