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4.11.18

특허판례

"믿거나 말거나"는 상표가 될 수 없을까?

상표는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를 다른 경쟁업체의 것과 구분하기 위한 중요한 표식입니다. 그렇다면 모든 문구나 표현이 상표로 등록될 수 있을까요? 오늘은 "Believe It or Not(믿거나 말거나)"라는 문구의 상표 등록 가능성에 대한 흥미로운 판례를 소개합니다.

사건의 개요

리플리 엔터테인먼트는 "Believe It or Not"를 박물관, 미술관 등의 경영업에 사용할 서비스표로 등록하려 했습니다. 특허청은 이를 거절했고, 리플리 엔터테인먼트는 이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Believe It or Not"는 "믿거나 말거나, 거짓이라고 생각하겠지만"이라는 뜻으로, 사실임을 강조하기 위해 흔히 쓰이는 표현이라고 판단했습니다. 특히 박물관이나 미술관처럼 신기한 전시물을 보여주는 곳에서 이 표현을 사용하면, 일반 사람들은 서비스 출처를 나타내는 상표로 인식하기보다는 단순한 관용구로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Believe It or Not"는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7호, 즉 "자기의 서비스업과 타인의 서비스업을 식별할 수 없는 서비스표"에 해당하여 상표 등록을 받을 수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리플리 측은 "Believe It or Not"가 일반적으로 쓰이는 구호나 표어가 아니며, 다른 나라에서 상표 등록된 사례도 있다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법원은 상표 등록 여부는 우리나라 상표법에 따라 독립적으로 판단해야 할 문제이며, 다른 나라의 사례는 고려 대상이 아니라고 명확히 했습니다.

핵심 정리

  • 상표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일반적으로 흔히 쓰이는 표현이나 관용구는 상표로 등록되기 어렵습니다.
  • 상표 등록 여부는 우리나라 상표법에 따라 판단하며, 다른 나라의 사례에 구애받지 않습니다.

관련 법조항: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7호

이번 판례는 상표로서의 식별력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상표 등록을 고려하고 있다면, 단순히 독창적인 표현을 넘어, 해당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명확히 나타낼 수 있는지 꼼꼼히 검토해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광고만으로는 상표 사용으로 인정 안 될 수도 있다?!

단순히 신문에 상표를 광고한 것만으로는 상표를 '사용'한 것으로 볼 수 없다는 판결. 실제 상품이 유통되거나 유통 예정이어야 상표 사용으로 인정된다.

#상표#신문광고#사용#미인정

특허판례

상표권 사용, 통상사용권 설정만으로는 부족해요!

상표권자가 다른 사람에게 상표를 사용할 권리를 주는 것(통상사용권 설정)만으로는 상표권자가 직접 상표를 사용한 것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상표권#통상사용권#상표사용#불사용등록취소

특허판례

상표권 분쟁, 소비자 기만 여부가 핵심!

새로운 상표가 기존 상표와 유사하여 소비자들이 혼동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판단할 때, 기존 상표가 반드시 유명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관련 업계에서 특정 회사의 상표로 인식될 정도로 알려져 있어야 한다는 판례입니다.

#상표#수요자 기만#유사상표#상표 등록

특허판례

리눅스 상표, 책 표지에 붙여도 괜찮을까? - 상표의 식별력에 대한 이야기

컴퓨터 운영체제 이름인 "Linux"를 서적, CD 등에 상표로 사용해도 상품 내용을 표시하는 것으로 볼 수 없고, 소비자를 기만하는 것도 아니라는 판결.

#Linux#상표#등록#유효

특허판례

옷 브랜드 이름, 멋으로 쓴 글씨체도 상표가 될 수 있을까?

글자를 변형하여 만든 상표(기술적 문자상표)가 도형화된 정도가 너무 커서 일반인이 글자로 인식하기 어려운 경우, 해당 상표는 일반적인 표현으로 볼 수 없으므로 상표 등록이 가능하다.

#문자상표#도형화#식별력#상표등록

특허판례

거래명세표나 간판에 상표를 붙였다고 무조건 상표 사용일까요?

상표는 상품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해야 하며, 단순히 거래명세표나 간판에 표시했다고 해서 무조건 상표 사용으로 인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상표가 실제로 상품을 구별하는 기능을 하는지가 중요합니다.

#상표#상표사용#거래명세표#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