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아이 키우는 데 돈이 얼마나 드는지 아시죠? 그런데 양육비를 제대로 안 주는 전 배우자 때문에 속 터지는 분들 많으실 거예요. 이혼 후 양육비 지급은 법적으로 보장된 아이의 권리인데 말이죠. 더 이상 참지 마세요! 법의 도움을 받아 정당한 양육비를 받아낼 수 있는 방법들을 알려드릴게요.
1. 양육비 직접지급명령 (가사소송법 제63조의2)
양육비를 두 번 이상 안 줬다고요? 그럼 회사에 직접 양육비를 보내달라고 할 수 있어요! 이게 바로 양육비 직접지급명령입니다. 법원이 양육비 채무자의 월급에서 양육비를 빼서 양육비 채권자에게 바로 지급하도록 회사에 명령하는 거죠.
2. 양육비 담보제공명령 & 일시금지급명령 (가사소송법 제63조의3)
양육비 지급을 확실하게 보장받고 싶다면 담보제공명령을 신청할 수 있어요. 법원이 양육비 채무자에게 재산을 담보로 제공하도록 명령하는 제도입니다. 양육비를 안 주면 담보로 잡은 재산으로 받을 수 있죠.
3. 양육비 이행명령 (가사소송법 제64조)
판결, 조정 등으로 양육비 지급 의무가 확정되었는데도 양육비를 안 준다면 이행명령을 신청하세요. 법원이 양육비 채무자에게 일정 기간 안에 양육비를 지급하라고 명령합니다.
자, 이제 양육비 문제로 고민만 하지 마시고 적극적으로 해결하세요! 위에 설명드린 법적 절차들을 잘 활용하면 정당한 양육비를 받아낼 수 있을 거예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도 잊지 마세요. 아이의 행복을 위해 힘내세요!
생활법률
양육비 미지급 시 직접지급명령, 담보제공/일시금지급명령, 이행명령, 강제집행 등 법적 절차를 통해 양육비를 받아낼 수 있으며, 양육비이행관리원의 법률 및 추심 지원, 한시적 양육비 긴급지원 제도를 활용하고, 출국금지, 명단공개, 형사처벌 등 채무 불이행자 제재도 강화되었다.
상담사례
양육비 채권자가 양육비 의무자가 두 번 이상 양육비를 지급하지 않은 경우, 법원에 양육비 직접지급명령을 신청하여 의무자의 회사에서 직접 양육비를 받을 수 있다.
상담사례
양육비 미지급 시 이행명령 신청 후 불이행 시 과태료, 3회 이상 미지급 시 감치 신청 가능하며, 미지급 양육비는 정기금 청구가 유리하다.
상담사례
양육비 지급 확보를 위해 이혼 후 상대방이 법원이 정한 양육비를 지급하지 않을 경우, 가정법원에 담보 제공 명령을 신청할 수 있다.
상담사례
양육비 미지급 시, 자녀 거주지 관할 가정법원에 이행명령을 신청하고, 이행명령 후 3회 이상 미지급 시 감치명령 신청이 가능하다.
상담사례
양육비 미지급 시, 양육비 청구 소송 중 '재산명시' 제도를 통해 상대방의 재산 조회가 가능하며, 재산목록 제출 거부/허위 제출 시 과태료가 부과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