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생활법률

밥상 위의 변신, 가공식품 완전 정복! 농·수·축산물 가공식품 파헤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 식탁에서 빠질 수 없는 가공식품, 그중에서도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을 이용한 가공식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복잡한 법령 내용은 쉽게 풀어 설명하고, 다양한 종류도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1. 농산가공식품: 밭에서 식탁까지, 놀라운 변신!

개념: 농산물에 여러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식품을 말합니다. 크게 세 가지 경우를 생각하면 쉬워요!

  • 첨가물 추가: 농산물에 다른 식품이나 첨가물을 넣은 경우 (예: 설탕에 절인 과일)
  • 원형 변화: 원래 모양을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가공한 경우 (예: 밀가루, 전분)
  • 즉시 섭취: 씻거나 데우지 않고 바로 먹을 수 있게 가공한 경우 (예: 시리얼, 땅콩버터)

(참고) 가공식품 해당여부 판단 매뉴얼 (식품의약품안전처, 2016. 11.) p.3~p.5

종류: 농산가공식품은 아래처럼 다양하게 분류됩니다. (식품의 기준 및 규격, 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제2024-35호, 2024. 7. 10. 발령·시행, 제5.16.)

  • 전분류: 감자, 고구마 등에서 얻은 전분이나, 여기에 다른 첨가물을 넣어 만든 제품
  • 밀가루류: 밀을 갈아 만든 가루, 또는 영양 강화를 위해 첨가물을 넣은 제품
  • 땅콩 또는 견과류가공품류: 땅콩, 아몬드 등을 가공한 버터, 과자 등
  • 시리얼류: 곡물을 주원료로 비타민, 무기질 등을 첨가하여 만든 제품
  • 찐쌀: 쌀을 쪄서 말린 것
  • 효소식품: 식물성 원료로 만든 효소 제품
  • 그 밖의 농산가공품류: 위에 속하지 않는 다양한 농산물 가공품

2. 수산가공식품: 바다의 선물, 더욱 맛있게!

개념: 수산물을 가공하여 만든 식품입니다. 농산가공식품과 비슷하게 생각하면 됩니다!

  • 첨가물 추가: 다른 식품이나 첨가물을 넣은 경우 (예: 어묵)
  • 원형 변화: 원래 모양을 알 수 없을 정도로 가공한 경우 (예: 젓갈)
  • 위해 발생 우려/즉시 섭취: 가공 과정에서 위해 발생 우려가 있거나, 씻거나 데우지 않고 바로 먹을 수 있는 제품 (예: 조미김)

(참고) 가공식품 해당여부 판단 매뉴얼, p.8~p.10

종류: (식품의 기준 및 규격, 제5.20.)

  • 어육가공품류: 생선 살을 이용하여 만든 어묵, 소시지 등
  • 젓갈류: 소금에 절여 숙성시킨 젓갈, 액젓 등
  • 건포류: 생선, 오징어 등을 말린 건어물
  • 가공김: 마른 김을 구운 김, 조미김 등
  • 한천: 우뭇가사리에서 추출한 한천
  • 그 밖의 수산물가공품: 위에 속하지 않는 기타 수산물 가공품

3. 축산물가공품: 든든한 영양, 다채로운 맛!

개념: 축산물 위생관리법(제2조제13호)에 따라 식육가공품, 유가공품, 알가공품을 말합니다.

종류: (축산물 위생관리법 제2조제8호제10호, 축산물 위생관리법 시행령 제2조제2항제4항)

  • 식육가공품: 햄, 소시지, 베이컨, 육포 등 고기를 가공한 제품. 식육간편조리세트(밀키트 형태)도 포함됩니다.
  • 유가공품: 우유, 치즈, 버터, 요구르트, 아이스크림 등 우유를 가공한 제품
  • 알가공품: 계란을 가공한 액상, 분말, 가열제품 등

(참고) 식품의 기준 및 규격, 제5.17.~19.

오늘은 농·수·축산물 가공식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정보가 여러분의 식생활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다음에 더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생활법률

🍎🥦🥕 우리 밥상 위의 농산물, 제대로 알고 먹자! 👨‍🌾

농산물의 정의, 정부의 관리 제도(원산지 표시, 이력추적, 인증 등), 표준규격, 품질표시, 안전성 조사 등을 통해 소비자가 안전하고 건강한 농산물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농산물#농작물#축산물#임산물

생활법률

내가 먹는 음식, 제대로 알고 먹자! 식품 표시 기준 완전 정복!

식품에는 제품명, 내용량, 원재료, 유통기한 등 필수 정보가 표시되어야 하며, 부정확하거나 부당한 표시·광고는 법적 제재를 받는다.

#식품 표시기준#식품표시#제품명#내용량

생활법률

즉석판매제조·가공 식품, 뭘까요? (feat. 법조항)

즉석판매제조·가공업은 다른 곳에서 만든 식품을 소분하거나 직접 원재료로 즉석 제조하여 바로 판매하는 형태이며, 통조림, 레토르트, 냉동식품 등 포장·유통되는 제품과 식초, 전분, 알가공품 등은 판매할 수 없다.

#즉석판매제조·가공업#소분판매#직접제조#판매불가식품

생활법률

똑똑한 농축수산물 쇼핑, 이것만 알면 OK!

농축수산물의 원산지, 이력추적, 인증, 표시 등을 확인하고, 문제 발생 시 신고 및 분쟁해결 절차를 활용하여 안전하고 똑똑하게 소비하는 방법을 안내한다.

#농축수산물#소비#안전#원산지

생활법률

우리 식탁에 오르는 모든 것, 축산물 완전 정복!

식용 가축에서 얻는 모든 것(식육, 원유, 식용란, 가공품)인 축산물은 「축산물 위생관리법」에 따라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다.

#축산물#식육#원유#식용란

생활법률

우리 식탁에 오르는 수산물,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을까요?

수산물의 정의, 안전 관리 제도(원산지 표시, 이력추적, HACCP 등), 포장·등급 규격, 표준규격품 표시 의무, 안전성 조사 및 조치 등 수산물의 생산·유통·소비와 관련된 법규와 제도를 소개하고 안전한 수산물 섭취를 권장함.

#수산물#농수산물 품질관리법#원산지 표시#이력 추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