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가 매일 먹는 고기, 우유, 계란 등 '축산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축산물이 무엇인지, 어떻게 관리되는지 궁금하셨던 분들, 주목해주세요!
축산물, 정확히 뭘까요?
간단히 말해, 식용을 목적으로 하는 가축의 생산물을 축산물이라고 합니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포함됩니다. (축산물 위생관리법 제2조, 축산물 위생관리법 시행령 제2조제2항부터 제4항까지 및 축산물 위생관리법 시행규칙 제1조의2)
안전한 축산물, 어떻게 관리될까요?
정부는 우리 식탁의 안전을 위해 다양한 제도를 통해 축산물을 꼼꼼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축산물 이력관리 시스템을 통해 어디서 생산되고 유통되는지 추적하고, HACCP(안전관리인증기준)을 통해 위생적인 생산 과정을 관리합니다. 또한, 등급표시제와 표시기준 등을 통해 소비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축산물 위생관리법 제4조)
축산물에도 표준규격이 있다?
네, 맞습니다! 축산물의 도축·처리, 집유 과정부터 가공, 포장, 보존, 유통까지 모든 과정에는 표준규격이 정해져 있습니다. 이러한 규격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고시하며, 모든 축산물은 이 규격을 준수해야 합니다. 수입 축산물도 마찬가지입니다. (축산물 위생관리법 제4조, 축산물 위생관리법 시행규칙 제2조, 식품의 기준 및 규격 고시)
만약 표준규격에 맞지 않는 축산물을 판매하거나 판매 목적으로 보관, 운반, 진열하는 경우에는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축산물 위생관리법 제4조제7항, 제45조제4항제2호)
오늘은 축산물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는 더욱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생활법률
축산물 구매 시, 제품명, 내용량 등 11가지 필수 표시사항과 안전 관련 추가 표시를 확인하고, 질병 예방·치료 효능 등 허위·과장 광고를 주의해야 하며, 표시기준 위반 제품은 유통·판매 금지 및 처벌 대상입니다.
생활법률
농산물의 정의, 정부의 관리 제도(원산지 표시, 이력추적, 인증 등), 표준규격, 품질표시, 안전성 조사 등을 통해 소비자가 안전하고 건강한 농산물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생활법률
수산물의 정의, 안전 관리 제도(원산지 표시, 이력추적, HACCP 등), 포장·등급 규격, 표준규격품 표시 의무, 안전성 조사 및 조치 등 수산물의 생산·유통·소비와 관련된 법규와 제도를 소개하고 안전한 수산물 섭취를 권장함.
생활법률
해외직구로 식육, 포장육, 원유, 식용란, 식육가공품, 유가공품, 알가공품 등 축산물을 구입할 경우, 개인 소비용이라도 수입신고 및 검사가 필요하다.
생활법률
축산물 이력제는 소, 돼지, 닭, 오리의 사육, 도축, 수입, 판매 전 과정을 기록·관리하여 소비자가 이력정보를 확인하고 안전한 축산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생활법률
가축전염병예방법, 수산생물질병 관리법, 식물방역법, 식품위생법, 축산물 위생관리법 5가지 법률은 식탁 안전을 위해 가축, 수산물, 농작물, 식품, 축산물의 질병 관리 및 위생 관리를 규정하여 국민 건강을 보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