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2.05.10

형사판례

법무사 등록증 대여, 뭘까요? 직접 운영하면 대여 아닙니다!

법무사 등록증 대여, 정확히 어떤 의미일까요? 최근 대법원 판결을 통해 그 의미가 명확하게 정리되었습니다. 단순히 등록증을 빌려주는 것처럼 보이더라도, 실제로 법무사가 사무소 운영에 관여했다면 대여로 볼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이번 판결의 핵심은 법무사의 실질적인 운영 참여 여부입니다. 법무사법 제21조 제2항은 타인에게 등록증을 대여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는데, 이는 무자격자의 불법적인 법무사 업무 수행을 막기 위한 것입니다. 하지만 법무사가 자신의 등록증을 이용해서 타인이 사무소를 설치하고 등록하도록 했다 하더라도, 그 이후 법무사 본인이 사무소에서 업무를 처리하고 운영에 실질적으로 관여했다면 등록증 대여로 볼 수 없다는 것이 대법원의 판단입니다.

쉽게 설명하면, 투자자를 유치하여 사무실을 확장하고, 투자자가 사무실 관리를 맡더라도, 법무사 본인이 직접 사건을 처리하고 법률 업무를 수행했다면 등록증 대여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이번 사례에서는 법무사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사무소에 출근하여 실제 법무 업무를 처리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비록 다른 사람이 자금을 투자하고 사무실 유지 및 관리를 담당했더라도, 법무사가 실질적으로 사무소를 운영했기 때문에 등록증 대여로 볼 수 없다는 판결이 나온 것입니다.

관련 법조항

  • 법무사법 제21조 제2항: 법무사는 등록증을 다른 사람에게 대여하거나 그 등록증을 양도 또는 담보로 제공하여서는 아니 된다.
  • 법무사법 제72조: 제21조제2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등록증을 대여하거나 양도 또는 담보로 제공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이번 판결은 법무사 등록증 대여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등록증 대여 여부를 판단할 때는 단순한 형식적인 측면이 아니라, 법무사의 실질적인 운영 참여 여부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한 판례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법무사 자격증 빌려주기, 어디까지 처벌될까?

법무사가 자격증을 빌려주고 무자격자가 법무사 행세를 하며 일한 경우, 둘 다 처벌받습니다. 또한, 법 개정 이후 얻은 부당이득만 추징 가능합니다.

#법무사#자격증 대여#부당이득 추징#법 개정(2017.12.12.)

민사판례

회계사 자격증 빌려주면 안되는 이유: 내 이름으로 다른 사람이 회계 업무를? 절대 안돼요!

공인회계사가 자격증을 빌려주는 행위는 불법이며, 이를 바탕으로 맺은 계약은 효력이 없습니다.

#공인회계사#자격증 대여#계약 무효#강행법규

형사판례

측량업 등록증 대여, 뭘까요? 동업과의 차이점은?

자격증이 있는 사람이 자격증이 없는 사람과 동업하며 자신의 측량업 등록증을 사무실에 걸어두고 실제로 업무에 관여했다면, 단순히 등록증을 빌려준 것(대여)으로 볼 수 없다는 판결.

#측량업#등록증 대여#동업#실질적 관여

형사판례

공인중개사 자격증 대여, 무엇이 문제일까요?

공인중개사가 자신의 등록증을 다른 사람에게 준 경우라도, 그 사람이 실제로 공인중개사 업무를 하지 않았다면 등록증 대여로 처벌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

#공인중개사#등록증 대여#무죄#무자격자

형사판례

관세사가 사무소 경영을 무자격자에게 맡기면 명의대여일까?

관세사가 직접 관세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사무소 경영을 무자격자에게 맡기거나 투자를 받고 이익을 분배하더라도 관세사법상 명의대여로 볼 수 없다.

#관세사#명의대여#무자격자#사무소 경영

형사판례

관세사 명의 대여, 어디까지 허용될까?

관세사 자격증이나 등록증을 빌려주는 것만이 명의대여이며, 단순히 무자격자에게 사무소 경영이나 투자를 허용하는 것은 명의대여가 아니다. 하지만 관세사가 형식적으로만 업무를 수행하는 것처럼 보이고 실제로는 무자격자가 관세사 업무를 하는 경우는 명의대여에 해당한다.

#관세사#명의대여#실질적 업무 수행#무자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