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1.04.28

형사판례

법인세 포탈세액 계산,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오늘은 법인세 포탈과 관련된 중요한 판결 내용을 알기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회사를 운영하시는 분들이라면 특히 주의 깊게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1. 법인세 포탈세액,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

법인세를 줄이기 위해 고의로 소득을 적게 신고하는 것을 법인세 포탈이라고 합니다. 이때, 실제로 포탈한 세액을 계산하는 방법이 중요한데요, 법에는 몇 가지 계산 방법이 정해져 있습니다 (구 법인세법 시행령 제104조 제2항). 이 판결에서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법에 정해진 계산 방법을 따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만약 법에 정해진 방법대로 계산하면 불합리한 결과가 나오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있다면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그런 특별한 사정이 있는지를 먼저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는 것이죠.

이 사건에서는 검찰이 법에 정해진 계산 방법(단순경비율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다른 방법(매출원가 기준 추계방법)으로 포탈 세액을 계산했는데, 법원은 특별한 사정이 있는지 제대로 살펴보지 않고 다른 계산 방법을 사용한 것은 잘못이라고 판단했습니다. (대법원 2004. 5. 28. 선고 2004도925 판결, 대법원 2005. 5. 12. 선고 2004도7141 판결 참조)

2. 조세 포탈죄, 고의성이 중요하다!

조세 포탈죄가 성립하려면 단순히 세금을 적게 낸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고의로 세금을 덜 내려는 의도가 있어야 합니다 (구 조세범 처벌법 제9조 제1항, 현행 제3조 제1항, 제6항 참조). 즉, 세금을 적게 내는 결과가 발생할 것을 알면서도 의도적으로 그런 행동을 했다는 점이 입증되어야 하죠.

이 사건에서 피고인은 자료상으로부터 허위 세금계산서를 받아 부가가치세를 환급받았습니다. 그러나 법원은 피고인이 허위 세금계산서를 사용하면 국가의 조세 수입이 줄어든다는 사실까지 인식하고 있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판단하여, 부가가치세 포탈에 대한 고의를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대법원 1990. 10. 16. 선고 90도1955 판결, 대법원 2007. 6. 1. 선고 2005도5772 판결, 대법원 2010. 1. 14. 선고 2008도8868 판결 참조)

3. '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란 무엇일까?

조세 포탈죄에서 '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란 단순히 세금 신고를 안 하거나 허위 신고를 하는 것 이상의 행위를 말합니다. 세금을 제대로 징수하기 어렵게 만드는 적극적인 부정행위가 있어야 하죠 (구 조세범 처벌법 제9조 제1항, 현행 제3조 제1항, 제6항 참조).

이 사건에서 피고인은 매입처별 세금계산서 합계표를 허위로 작성하거나 법인세 신고를 하지 않았는데, 법원은 이러한 행위만으로는 '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았습니다. (대법원 2008. 6. 12. 선고 2008도2300 판결, 대법원 2011. 3. 24. 선고 2010도13345 판결 참조)

법인세와 관련된 문제는 복잡하고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법률 지식을 갖추고 대비한다면 불필요한 분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세금 포탈, 어디까지 처벌될까? - 사업자와 상속인이 알아야 할 조세 포탈 판결 해설

이 판례는 조세 포탈 혐의에 대한 판결로, 포탈 세액 추정 계산의 요건, 조세 포탈에 해당하는 부정 행위의 범위, 그리고 부가가치세 매출세액이 종합소득세 계산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대해 다룹니다.

#조세포탈#추정계산#부정행위#부가가치세

형사판례

법인세 포탈과 가산세, 어디까지 처벌할 수 있을까?

법인세를 적게 신고해서 세금을 포탈한 경우, 언제 범죄가 완성되는지(기수시기)와 나중에 발생하는 가산세도 포탈액에 포함되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법인세 포탈죄는 신고기한이 지나면 범죄가 완성되고, 그 이후 발생하는 가산세는 포탈액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법인세 포탈죄#기수시기#가산세#신고기한

형사판례

회사 돈, 내 맘대로 쓰면 안 돼요! 법인세 포탈, 어디까지 처벌받을까?

회사 돈을 가짜 비용으로 처리하거나 매출을 숨겨서 세금을 적게 낸 것은 범죄이며, 회사 운영에 필요한 돈이었다고 주장해도 적법한 비용 처리였다는 것을 증명하지 못하면 처벌받습니다.

#법인세 포탈#허위 비용#매출 누락#가짜 장부

형사판례

1년 동안 세금 얼마나 덜 냈는지가 중요합니다! - 조세 포탈죄, 1년 단위로 판단해야

1년 동안 포탈한 세금 총액이 기준 금액을 넘으면 세금 종류에 관계없이 하나의 범죄로 보고, 중간에 다른 범죄로 확정판결을 받았더라도 조세 포탈이 계속되었다면 하나의 범죄로 본다는 내용입니다.

#조세포탈#죄수#확정판결#1년

형사판례

법인세 포탈 혐의, 실질적 운영자의 종합소득세 포탈로 공소장 변경 불가!

회사(법인)의 실질적 운영자가 회사 돈을 빼돌려 회사의 법인세를 내지 않은 혐의로 재판을 받던 중, 검찰이 "회사가 아니라 개인 소득세를 포탈한 것"이라고 주장을 바꾸려 했으나 법원이 이를 허락하지 않은 사례.

#법인세 포탈#소득세 포탈#공소장 변경 불허#대법원 기각

형사판례

법인세와 부가가치세 포탈, 언제 범죄가 완성될까? 그리고 각각 따로 처벌해야 할까?

이 판례는 회사가 법인세와 부가가치세를 내지 않은 사건에서, 언제 범죄가 완성되는지(기수시기), 1년 동안 포탈한 세액을 어떻게 계산하는지, 그리고 부가가치세 포탈의 경우 몇 개의 죄가 성립하는지를 판단한 사례입니다.

#법인세 포탈#부가가치세 포탈#기수시점#연간 포탈세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