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2.05.12

민사판례

변호사 비용, 너무 비싸면 깎아줄 수 있다?! - 소송비용 감액에 대한 대법원 판결 해설

소송에서 이기면 변호사 비용을 상대방에게 청구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하지만 터무니없이 비싼 변호사 비용을 청구한다면 법원에서 깎아줄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변호사 비용 감액과 관련된 대법원 판결을 쉽게 풀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파산한 저축은행의 파산관재인(쉽게 말해, 파산한 회사의 재산을 관리하는 사람)인 예금보험공사가 신청인에게 177억 원의 보증금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처음에는 177억 원을 청구했지만, 소송 과정에서 25억 원으로 청구 금액을 줄였습니다. 최종적으로 법원은 신청인의 손을 들어주었고, 소송비용은 예금보험공사가 부담하게 되었습니다. 문제는 예금보험공사가 부담해야 할 변호사 비용이었습니다. 법원은 처음 청구 금액인 177억 원을 기준으로 9,585만 원의 변호사 비용을 산정했습니다. 예금보험공사는 실제로 다툰 금액은 25억 원인데 177억 원을 기준으로 변호사 비용을 계산하는 것은 부당하다며 감액을 요청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변호사 비용을 깎아줄 수 있는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바로 "현저히 부당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입니다. 이를 판단할 때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 소송에서 다툰 금액 (소송목적의 값)
  • 계산된 변호사 비용의 액수
  • 소송이 진행된 기간과 과정
  • 소송이 끝난 이유
  • 사건의 종류와 난이도
  • 변호사가 얼마나 노력했는지

이 사건에서는, 예금보험공사가 청구 금액을 25억 원으로 줄였음에도 불구하고 법원이 처음 청구 금액인 177억 원을 기준으로 변호사 비용을 산정한 것은 부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실제로 다툰 금액은 25억 원이었고, 소송의 쟁점도 단순했기 때문입니다. 또한, 파산관재인인 예금보험공사가 소송 절차에 익숙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도 고려했습니다. 따라서 대법원은 원심 법원이 이러한 사정들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변호사 비용 감액 여부를 판단한 것은 잘못이라고 보고,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돌려보냈습니다.

관련 법조항 & 판례

  • 변호사보수의 소송비용 산입에 관한 규칙 제6조 제1항: 변호사 보수가 현저히 부당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감액할 수 있다고 규정.
  • 변호사보수의 소송비용 산입에 관한 규칙 제3조, 제5조: 변호사 보수 산정 기준을 규정.
  • 대법원 1991. 9. 24. 자 91마277 결정, 대법원 2002. 9. 23. 자 2000마5257 결정(공2002하, 2468), 대법원 2010. 7. 13. 자 2010마658 결정, 대법원 2013. 12. 27. 자 2013마1803 결정: 소송비용 감액에 관한 판례

핵심 정리

변호사 비용이 지나치게 높다고 생각되면 법원에 감액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법원은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현저히 부당한지" 여부를 판단합니다. 이 판결은 소송 당사자들에게 변호사 비용 감액에 대한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변호사 수임료, 너무 비싸면 돌려받을 수 있을까? - 소송비용과 변호사 보수 감액

소송에서 이긴 쪽이 진 쪽에게 변호사 보수를 청구할 때, 법에서 정한 기준대로 계산된 금액이라도 사건의 난이도나 변호사의 실제 노력에 비해 과도하게 많다면 소송비용으로 인정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대법원은 '현저히 부당한 경우'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판단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변호사 보수#소송비용#대법원#현저히 부당

민사판례

소송 취하/감축과 변호사 비용 계산, 꼭 알아야 할 포인트!

소송 중 청구 금액을 줄이면 줄어든 부분에 대한 소송비용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변호사 비용은 상대방이 변호사를 선임하기 *전*에 청구 금액을 줄인 경우 줄어든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소송비용#청구금액 감축#변호사 비용#소송목적의 값

상담사례

항소심 소송비용, 변호사 보수는 얼마까지 받을 수 있을까? (feat. 항소 취지 감축)

항소심에서 상대방이 항소 취지를 감축한 경우, 피항소인이 변호사를 선임할 *당시* 상대방이 다투던 금액을 기준으로 변호사 보수가 계산된다.

#항소심#소송비용#변호사 보수#항소 취지 감축

민사판례

소송에서 이겼는데 변호사 비용은 얼마나 돌려받을 수 있을까?

소송에서 양측이 소송비용을 나눠 내기로 했을 때, 법원은 변호사 보수를 정할 때 실제로 약속한 금액과 법에서 정한 기준 금액 중 더 적은 금액에 분담 비율을 곱해서 계산해야 합니다.

#소송비용#변호사보수#분담비율#실제계약금액

민사판례

소송비용 분담과 변호사 보수, 얼마나 내야 할까?

소송에서 양쪽이 비용을 일정 비율로 나눠 내기로 했을 때, 법원이 정확한 금액을 어떻게 계산하는지, 그리고 변호사 보수가 너무 많다고 생각될 때 법원이 줄일 수 있는 기준은 무엇인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소송비용#상계#변호사 보수#감액

민사판례

변호사 성공보수, 얼마까지 받을 수 있을까? - 변호사 보수 감액에 대한 대법원 판단

소송에서 이긴 쪽이 진 쪽에게 받을 수 있는 변호사 보수는 법에 정해진 기준대로 계산하지만, 너무 과도하다면 법원이 재량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이 판결은 '너무 과도한 경우'가 무엇인지, 그리고 감액 과정이 다소 부적절하더라도 판결을 뒤집을 수 있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변호사 보수#감액#대법원 판결#현저히 부당한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