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5.05.12

민사판례

변호사의 실수로 상고 기회를 놓쳤다면? 손해배상 받을 수 있을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변호사의 실수로 상고 기회를 놓쳤을 때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상고심은 재판의 마지막 단계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데요, 변호사의 실수로 이 기회를 놓친다면 정말 억울하겠죠.

이번 사례는 의뢰인 박 씨가 항소심에서 패소한 후 변호사에게 상고를 맡겼지만, 변호사가 상고이유서 제출 기간을 놓쳐 상고가 기각된 상황입니다. 박 씨는 변호사의 잘못으로 손해를 입었다며 손해배상을 청구했습니다.

핵심 쟁점은 변호사가 기간 내에 상고이유서를 제출했더라면 박 씨가 상고심에서 승소했을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였습니다.

법원은 박 씨의 손해배상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그 이유는 박 씨가 "변호사가 상고이유서를 제출했더라면 승소했을 것"이라는 점을 입증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변호사의 실수가 있었더라도, 상고심에서 이겼을 것이라는 확실한 증거가 없다면 손해배상을 받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즉, 변호사가 상고이유서 제출 기간을 어긴 것은 잘못이지만, 그것만으로는 손해배상 책임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변호사의 잘못과 의뢰인의 손해 사이에 인과관계가 입증되어야 합니다. 이 사례에서는 상고이유서를 제출했더라도 승소할 수 있었는지가 불분명하기 때문에 인과관계가 인정되지 않은 것입니다.

관련 법 조항 및 판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 민법 제763조(제393조):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책임
  • 민사소송법 제399조: 상고이유서 제출
  • 대법원 1959.11.26. 선고 4292민상271 판결
  • 대법원 1972.4.25. 선고 72다56 판결
  • 대법원 1973.1.16. 선고 72다2035 판결

이 판례를 통해 변호사를 선임할 때 신중해야 할 뿐만 아니라, 소송 진행 상황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변호사의 과실로 인한 손해배상 청구 시에는 인과관계 입증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변호사 사무실 직원의 실수, 변호사 책임 물을 수 있을까?

변호사 사무실 직원이 의뢰인에게 상고기간을 잘못 알려줘서 의뢰인이 상고를 못하게 됐다면, 변호사가 손해를 배상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변호사#직원#상고기간 오류#손해배상

상담사례

변호사가 항소기간 놓쳤어요! 손해배상 받을 수 있을까요?

변호사 과실로 항소기간을 놓쳐 패소한 경우, 돌려받을 수 있었던 소송비용과 패소 확정 시점의 토지 시가 등 변호사의 실수가 없었다면 받았을 이익을 손해배상으로 청구할 수 있다.

#변호사#항소기간 도과#손해배상#소송비용

민사판례

변호사의 실수로 항소 기회를 놓쳤다면? 손해배상 받을 수 있을까?

변호사가 의뢰인 소송에서 계산 착오를 발견하지 못하고 항소 기회를 놓치게 하여 손해배상 책임을 진 사례.

#변호사#계산 착오#항소 기회 상실#손해배상

민사판례

변호사의 과실과 손해배상 책임: 승소 가능성이 핵심!

변호사가 소송을 잘못 처리해서 의뢰인이 졌을 경우, 변호사가 소송을 제대로 처리했으면 이겼을 가능성이 있어야만 변호사에게 손해배상 책임을 물을 수 있습니다.

#변호사#소송 부적절 수행#손해배상#패소

상담사례

변호사가 판결문 오류를 못 잡아 항소기간 놓쳤다면? 배상 받을 수 있을까요?

변호사의 판결문 검토 소홀로 계산 오류를 놓쳐 항소 기간을 놓친 경우, 변호사의 과실이 인정되어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다.

#변호사 과실#판결문 오류#항소기간 도과#손해배상

형사판례

상고이유서 제출, 변호사 선임은 언제 해야 할까?

상고심에서 변호인을 통해 상고이유서를 제출하려면 상고이유서 제출 기간 *전에* 변호인 선임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기간 내에 변호인 선임서 없이 상고이유서만 제출한 경우, 해당 상고이유서는 효력이 없습니다.

#상고이유서#변호인 선임#기간 준수#상고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