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4.09.24

형사판례

부가가치세 부당 환급과 영리 목적, 그리고 고발의 필요성

오늘은 부가가치세 부당 환급과 관련된 법률 판례를 살펴보고, '영리 목적'의 의미와 고발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이 사건은 피고인들이 거짓 세금계산서를 제출하여 부가가치세를 부당하게 환급 또는 공제받으려 한 혐의로 기소된 사건입니다. 검찰은 피고인 1에게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하 특가법) 위반 혐의를, 피고인 2와 3에게는 조세범 처벌법 위반 혐의를 적용했습니다.

쟁점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다음 두 가지입니다.

  1. 부가가치세 부당 환급 목적이 특가법상 '영리 목적'에 해당하는지 여부
  2. 특가법 위반 혐의로 기소하려면 국세청장 등의 고발이 필요한지 여부

판결 내용

대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1. '영리 목적'의 의미: 특가법에서 말하는 '영리 목적'은 넓은 의미의 경제적 이익을 얻기 위한 목적을 뜻합니다. 따라서 거짓 세금계산서로 부가가치세를 부당하게 환급받으려는 행위도 '영리 목적'에 해당합니다. 원심은 피고인 1의 행위에 탈세 목적은 인정되지만 영리 목적은 없다고 판단했으나, 대법원은 이를 잘못된 판단으로 보고 파기환송했습니다. (관련 판례: 대법원 2010. 2. 11. 선고 2009도13342 판결, 대법원 2010. 11. 11. 선고 2010도7289 판결, 대법원 2011. 9. 29. 선고 2011도4397 판결)

  2. 고발의 필요성: 특가법 위반 혐의는 조세범 처벌법 위반 중 특정 조건(영리 목적, 일정 금액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를 가중처벌하는 규정입니다. 따라서 특가법 위반 혐의로 기소하려면 조세범 처벌법 제21조에 따라 국세청장 등의 고발이 필요합니다. 특가법 제16조는 고발 없이 기소할 수 있는 예외적인 범죄만 명시하고 있기 때문에, 특가법 위반 혐의는 원칙적으로 고발이 있어야 기소할 수 있습니다. 원심은 이러한 법리를 바탕으로 피고인 2와 3에 대한 공소를 기각했고, 대법원은 이를 정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관련 법 조항: 특가법 제8조의2 제1항, 제16조, 조세범 처벌법 제10조 제3항, 제4항, 제21조)

결론

이 판례를 통해 부가가치세 부당 환급 목적이 특가법상 '영리 목적'에 해당하고, 특가법 위반 혐의로 기소하려면 국세청장 등의 고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탈세 행위에 대한 엄중한 처벌 의지를 보여주는 동시에, 적법절차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판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가짜 세금계산서로 부가세 환급받으려는 것도 '영리 목적'에 해당

실제 거래 없이 가짜 세금계산서를 이용해 부가가치세 환급이나 공제를 받으려는 행위는 '경제적 이득을 취하려는 목적'으로 보기 때문에 범죄행위에 해당합니다.

#가짜 세금계산서#부가가치세 환급#영리 목적#조세포탈

형사판례

가짜 세금계산서, 돈 벌려고 썼다면 가중처벌!

재화나 용역의 실제 거래 없이 세금계산서를 발행하거나 받는 행위는, 그것이 조세 포탈이나 다른 범죄의 수단으로 사용되어 경제적 이익을 얻기 위한 것이라면 ‘영리 목적’으로 인정되어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허위세금계산서 교부 등)으로 가중처벌된다.

#허위세금계산서#영리목적#가중처벌#특정범죄가중법

형사판례

영세율 위장 허위 세금계산서에도 벌금 병과!

영세율이 적용되는 거래라고 속여서 허위 세금계산서를 발행해도 벌금을 내야 한다.

#영세율#허위 세금계산서#벌금#조세포탈

형사판례

허위 매입세금계산서를 이용한 부가가치세 포탈, 고의성 입증이 중요!

실제 거래 없이 허위 매입세금계산서를 받아 부가가치세를 줄인 경우, 단순히 세금계산서가 허위라는 사실을 알고 사용한 것만으로는 조세포탈죄가 성립하지 않고, 국가의 조세 수입이 줄어들 것을 알고 있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또한, 허위 세금계산서를 여러 장 사용한 경우, 각각의 세금계산서마다 별도의 죄가 성립한다는 점도 확인했습니다.

#허위매입세금계산서#부가가치세포탈#조세포탈죄#고의

형사판례

회사 돈과 관련된 여러 범죄, 유죄일까 무죄일까?

회사 대표가 허위 세금계산서를 제출한 혐의, 금융기관 임직원이 뇌물을 받은 혐의, 회계사가 부정한 청탁을 받고 돈을 받은 혐의에 대한 상고심에서, 대법원은 원심의 판단을 유지하며 상고를 기각했습니다.

#허위세금계산서#뇌물수수#회계사#상고기각

세무판례

수출하면 무조건 부가세 환급? 악용은 안돼요!

수출업체가 매입세액 공제/환급을 받으려면 단순히 세금계산서가 정상적인 것처럼 보이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이전 거래 과정에서 부가가치세 탈루 목적의 부정거래가 있었고, 수출업체가 이를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음에도 이를 이용해 부당한 이득을 취하려 했다면 신의성실 원칙에 위배되어 매입세액 공제/환급을 받을 수 없습니다.

#수출#부가가치세 환급#신의성실#부정거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