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4.09.26

형사판례

가짜 세금계산서로 부가세 환급받으려는 것도 '영리 목적'에 해당

오늘은 실제 거래 없이 가짜 세금계산서를 이용해서 부가가치세를 환급받으려는 행위가 '영리 목적'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사건의 핵심은 '영리의 목적'

이번 사건의 쟁점은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8조의2 제1항에 나오는 '영리의 목적'이 무엇인지, 그리고 가짜 세금계산서를 이용해 부가가치세 환급을 노리는 행위가 여기에 해당하는지 여부였습니다.

대법원은 '영리의 목적'이란 넓게 경제적인 이익을 얻으려는 목적을 의미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실제 거래 없이 가짜 세금계산서를 만들어 부당하게 부가가치세 환급이나 공제를 받으려는 행위는 바로 이런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므로 '영리의 목적'에 해당한다는 것이죠.

이 사건의 피고인은 실제로 거래하지 않은 폐동을 정상적으로 구매한 것처럼 꾸며 가짜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았습니다. 그리고 이를 이용해 부가가치세 매입세액을 공제받아 부당 이득을 취하려 했습니다. 대법원은 이러한 행위가 '영리의 목적'에 해당한다는 원심의 판단을 확정했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8조의2 제1항: 이 법률은 조세 포탈, 재산 국외 도피 등 특정 범죄에 대해 가중처벌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제8조의2 제1항은 그 중 하나로, 영리 목적으로 허위 세금계산서를 발급, 수취하거나 거짓으로 기장하는 등의 행위를 처벌하는 조항입니다.

  • 조세범 처벌법 제10조 제3항 제1호: 이 법률은 조세 관련 범죄를 처벌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제10조 제3항 제1호는 사기나 그 밖의 부정한 행위로 부가가치세를 포탈하는 행위를 처벌하는 조항입니다.

  • 대법원 2010. 2. 11. 선고 2009도13342 판결, 대법원 2010. 11. 11. 선고 2010도7289 판결, 대법원 2011. 9. 29. 선고 2011도4397 판결: 이 판례들은 '영리의 목적'에 대한 해석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가짜 세금계산서를 이용해 부가가치세를 부당하게 환급받으려는 행위는 경제적 이익을 얻기 위한 '영리 목적'의 행위로 판단되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판결은 조세 정의 실현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부가가치세 부당 환급과 영리 목적, 그리고 고발의 필요성

거짓 세금계산서로 부가가치세를 부당하게 돌려받으려는 행위는 경제적 이익을 취하려는 '영리 목적'에 해당하며, 이러한 범죄는 국세청의 고발이 있어야 재판을 진행할 수 있다.

#부가가치세#부당환급#허위세금계산서#영리목적

형사판례

가짜 세금계산서, 돈 벌려고 썼다면 가중처벌!

재화나 용역의 실제 거래 없이 세금계산서를 발행하거나 받는 행위는, 그것이 조세 포탈이나 다른 범죄의 수단으로 사용되어 경제적 이익을 얻기 위한 것이라면 ‘영리 목적’으로 인정되어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허위세금계산서 교부 등)으로 가중처벌된다.

#허위세금계산서#영리목적#가중처벌#특정범죄가중법

형사판례

영세율 위장 허위 세금계산서에도 벌금 병과!

영세율이 적용되는 거래라고 속여서 허위 세금계산서를 발행해도 벌금을 내야 한다.

#영세율#허위 세금계산서#벌금#조세포탈

형사판례

허위 세금계산서 발급·수취, 가중처벌 기준은 어떻게 될까?

한 사람이 서로 다른 사업자로서 허위 세금계산서를 발급하고 동시에 수취한 경우, 가중처벌을 위한 공급가액은 발급액과 수취액을 모두 합산해야 한다.

#허위세금계산서#가중처벌#공급가액#합산

형사판례

가짜 세금계산서, 따로 또 같이 처벌받는다?

허위 세금계산서 발급과 허위 합계표 제출은 별개의 범죄이므로, 가중처벌 기준 금액을 계산할 때 각각의 공급가액을 합산해야 한다.

#허위 세금계산서#허위 합계표#가중처벌#공급가액 합산

형사판례

허위 매입세금계산서를 이용한 부가가치세 포탈, 고의성 입증이 중요!

실제 거래 없이 허위 매입세금계산서를 받아 부가가치세를 줄인 경우, 단순히 세금계산서가 허위라는 사실을 알고 사용한 것만으로는 조세포탈죄가 성립하지 않고, 국가의 조세 수입이 줄어들 것을 알고 있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또한, 허위 세금계산서를 여러 장 사용한 경우, 각각의 세금계산서마다 별도의 죄가 성립한다는 점도 확인했습니다.

#허위매입세금계산서#부가가치세포탈#조세포탈죄#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