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5.01.24

민사판례

부당해고 당했는데, 감옥에 가면 임금 받을 수 있을까요?

회사에서 부당하게 해고를 당했는데, 해고 기간 중에 징역 살이를 하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해고는 부당했으니, 감옥에 있는 동안의 임금도 받을 수 있을까요? 오늘은 이 주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한 택시기사가 회사에서 사납금 횡령을 이유로 해고되었습니다. 기사는 해고가 부당하다며 소송을 제기했고, 법원은 해고가 무효라고 판결했습니다. 그런데 이 기사는 해고 기간 중 다른 죄로 징역형을 선고받고 구속되었습니다. 그렇다면, 회사는 이 기사에게 구속된 기간 동안의 임금도 지급해야 할까요?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부당해고로 인해 근로자가 일을 하지 못하게 된 경우, 회사는 근로자가 일했더라면 받았을 임금을 지급해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민법 제538조 제1항). 하지만, 이 사건처럼 해고 기간 중 근로자가 구속된 경우에는 상황이 달라집니다. 구속기간 동안에는 근로자가 실제로 일을 할 수 없었기 때문에, 회사는 이 기간의 임금을 지급할 의무가 없다는 것이 대법원의 판단입니다. 즉, 해고는 부당했지만, 감옥에 있는 동안 일을 할 수 없었으니 그 기간의 임금은 받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핵심 정리

  • 해고가 무효인 경우, 원칙적으로 회사는 해고기간 동안의 임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 하지만 해고기간 중 근로자가 구속되었다면, 구속기간 동안의 임금은 청구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구속으로 인해 실제로 근로를 제공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민법 제538조(채무불이행과 손해배상) ① 채무자의 귀책사유로 인하여 이행 또는 이행의 제공을 하지 못한 때에는 채권자는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 근로기준법 제36조(금품 청산) 사용자는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한 경우에는 그 지급기한에 관계없이 임금, 보상금, 그 밖의 모든 금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특별한 사정이 있으면 그러하지 아니하다.
  • 대법원 1994.9.13. 선고 93다50017 판결
  • 대법원 1994.10.25. 선고 94다25889 판결

이 판례는 부당해고와 구속기간 중 임금 청구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비슷한 상황에 놓인 분들은 이 판례를 참고하여 자신의 권리를 지키는 데 도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부당해고와 해고기간 중 임금, 알아두면 쓸모 있는 노동법 상식!

회사가 정한 해고 사유 이외의 이유로는 해고할 수 없고, 부당해고된 경우 회사는 해고 기간 동안의 임금을 지급해야 하며, 해고된 직원이 다른 곳에서 번 돈은 일부만 공제할 수 있다.

#징계해고#해고사유#해고기간#임금

민사판례

부당해고 당했을 때, 못 받은 월급 전부 받을 수 있을까?

회사가 부당하게 해고한 경우, 해고 기간 동안 일했더라면 받았을 임금 전부를 받을 수 있다. 시간외수당, 근속수당 등도 포함된다.

#부당해고#임금 전액#시간외수당#근속수당

민사판례

퇴직금 수령과 해고 무효 소송, 그리고 부당해고 기간 동안의 임금 계산

이 판례는 퇴직금을 받았다고 해서 무조건 해고에 동의한 것으로 볼 수는 없으며, 부당해고 기간 동안의 임금은 해고 이후 임금인상이 반영되어 계산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퇴직금 수령#해고 효력#부당해고#임금 계산

상담사례

부당해고 당했는데, 다른 데서 돈 벌면 받을 돈 줄어들까요?

부당해고 후 다른 곳에서 소득이 있어도 평균임금의 70%는 보장되며, 그 이상 소득이 있을 경우 초과분만큼만 공제된다.

#부당해고#임금청구#중간수입 공제#휴업수당

민사판례

부당해고와 임금, 그리고 소멸시효에 관한 이야기

부당해고된 근로자는 해고기간 동안 받지 못한 임금(개근 표창 포함)을 청구할 수 있으며, 부당해고 구제신청 관련 행정소송 참여는 임금 청구권 소멸시효 중단 사유가 된다.

#부당해고#임금#표창#소멸시효 중단

민사판례

부당해고 복직 후, 시간외근무수당도 받을 수 있을까?

부당해고를 당한 근로자가 복직 후 해고 기간 동안 받지 못한 시간외근무수당을 청구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대법원은 시간외근무수당이 실제 근무 여부와 관계없이 계속 근로했을 경우 받을 수 있는 임금에 포함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부당해고#시간외근무수당#청구#대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