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부도수표가 회수되었을 때 처벌 여부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살펴보겠습니다. 특히 공범이 수표를 회수한 경우에도 처벌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건의 개요
피고인은 여러 건의 사기, 무고, 공문서 위조 등의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그중에는 공범과 함께 부도수표를 발행한 혐의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쟁점
핵심 쟁점은 부도수표가 제1심 판결 선고 전에 공범에 의해 회수되었을 경우, 부정수표단속법 위반으로 처벌할 수 있는지 여부입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부정수표단속법 제2조 제4항의 취지를 근거로, 부도수표가 회수되면 수표 소지인이 처벌을 원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는 수표 소지인의 의사를 존중하는 차원에서 부정수표단속법 위반죄를 반의사불벌죄로 규정한 것과 같은 맥락입니다.
따라서, 수표가 제1심 판결 선고 전에 회수되면 공소기각 판결을 내려야 합니다. 중요한 것은, 공범에 의해 회수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라는 점입니다.
이 사건에서 피고인이 발행한 두 장의 부도수표는 공소 제기 전에 공범에 의해 회수되었습니다. 따라서 대법원은 이 부분에 대한 원심의 유죄 판단을 파기하고 공소기각 판결을 내렸습니다. 나머지 범죄에 대해서는 유죄를 인정하고 형을 선고했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결론
부도수표가 회수되면, 누가 회수했는지에 관계없이 부정수표단속법 위반으로 처벌할 수 없습니다. 이 판례는 부정수표 관련 범죄에서 수표 회수의 효력을 명확히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입니다.
형사판례
부정수표 단속법 위반 사건에서 공범 중 한 명이 제1심 판결 선고 전에 부도수표를 회수한 경우, 다른 공범에 대해서도 해당 수표 부분에 대한 공소는 기각되어야 한다.
형사판례
부정수표를 발행한 사람과 함께 범행을 저지른 공범이 그 수표를 회수하면, 수표를 회수한 공범이 다른 공범의 처벌을 원하더라도 처벌할 수 없다.
형사판례
부도 수표를 발행한 사람이 1심 판결 이후에 수표를 회수하더라도 처벌을 피할 수 없다.
형사판례
재판 없이 유죄 판결을 받은 부정수표 사건에서, 재심 진행 중 수표가 회수되면 어떻게 되는가? -> 공소기각(재판 없이 사건 종료)
형사판례
부정수표를 발행한 사람이 1심 판결 *이후*에 수표를 회수하더라도 처벌을 면할 수 없다.
형사판례
수표를 발행한 후 부도가 나서 재판을 받게 되었는데, 1심 판결 선고 전에 수표를 회수하면 부정수표단속법 위반죄로 처벌받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