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8.03.22

세무판례

부동산 명의신탁과 취득세, 납세의무는 언제 생길까?

부동산 거래, 특히 명의신탁이 얽힌 거래에서는 취득세 문제가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최근 대법원 판결을 통해 명의신탁과 관련된 취득세 납세 의무 시점에 대한 논란이 있었는데요, 오늘은 이 내용을 쉽게 풀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쟁점: 명의신탁 부동산, 취득세는 언제 내야 할까?

핵심 쟁점은 부동산을 사는 사람(명의신탁자)이 매매계약 후 돈은 다 냈지만 등기는 아직 다른 사람(명의수탁자) 이름으로 되어 있는 상황에서, 취득세 납부 의무가 돈을 다 낸 날에 생기는지, 아니면 나중에 자기 이름으로 등기하는 날에 생기는지였습니다. 더 나아가, 돈을 다 낸 명의신탁자가 나중에 자기 이름으로 등기할 때 또 취득세를 내야 하는지도 중요한 문제였죠.

대법원 다수의견: 돈 다 낸 날 납세의무 발생!

대법원 다수의견은 "돈 다 낸 날(사실상 잔금지급일)"에 이미 납세의무가 생긴다고 판단했습니다. 등기는 단지 소유권 취득의 형식적인 요건일 뿐, 실질적으로는 돈을 다 낸 시점에 이미 부동산을 취득한 것으로 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나중에 자기 이름으로 등기하더라도 다시 취득세를 낼 필요는 없다는 것이죠. (관련 조문: 구 지방세법 제105조 제1항, 제2항, 제111조 제7항, 구 지방세법 시행령 제73조 제1항, 제3항)

소수의견: 등기할 때마다 납세의무 발생!

반면 소수의견은 등기할 때마다 취득세 납세의무가 새롭게 생긴다고 주장했습니다. 명의수탁자 앞으로 등기할 때 한 번, 명의신탁자가 자기 이름으로 등기할 때 또 한 번, 이렇게 두 번 납부해야 한다는 것이죠. 그 이유로 취득세의 유통세적 성격과 부동산 실명법 등을 들었습니다.

핵심 법리와 판례

  • 구 지방세법 제105조 제2항: 등기 전이라도 사실상 취득하면 취득으로 간주.
  • 구 지방세법 시행령 제73조 제1항: 유상승계취득은 사실상 잔금지급일에 취득한 것으로 봄.
  • 대법원 2005. 1. 13. 선고 2003두10343 판결 등 참조.

정리하면...

대법원 다수의견에 따르면, 명의신탁 부동산의 경우에도 돈을 모두 지급한 날에 취득세 납세의무가 발생하며, 이후 자신의 명의로 등기를 하더라도 추가로 취득세를 낼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소수의견처럼 등기할 때마다 납세의무가 발생한다는 주장도 존재하며, 이러한 논란은 취득세에 대한 해석 차이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복잡한 부동산 거래, 특히 명의신탁이 개입된 경우라면 전문가와 상담하여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주의해야겠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명의신탁 부동산, 취득세는 누가 내야 할까?

다른 사람 이름으로 부동산을 사는 계약명의신탁에서, 실제 돈을 낸 사람(명의신탁자)은 취득세를 낼 의무가 없다.

#계약명의신탁#취득세#납세의무#사실상 취득

세무판례

명의신탁 해지와 취득세 납부 시점

명의신탁을 해지하고 소유권이전등기 청구소송에서 승소했더라도, 실제 등기를 마치기 전까지는 취득세 부과 대상이 아닙니다.

#명의신탁#해지#등기#취득세

세무판례

명의신탁 해지 후 소유권 이전, 취득세 내야 할까요?

부동산을 명의신탁했다가 다시 자신의 명의로 돌려받을 때에도 취득세를 내야 한다.

#명의신탁#해지#소유권이전등기#취득세

세무판례

내 땅인데 왜 취득세를 내야 하죠? 명의신탁과 취득세에 대한 이야기

명의신탁을 해지하고 실제 소유자 명의로 등기하는 경우에도 취득세를 내야 한다. 특히, 여러 사람이 공동명의로 땅을 소유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각자 특정 부분만 사용하는 경우, 이를 바로잡기 위해 명의신탁을 해지하고 지분을 정리하는 등기도 취득세 면제 대상이 아니다.

#명의신탁#해지#지분이전등기#취득세

민사판례

명의신탁 해지 후 소유권 회복, 취득세 내야 할까?

남의 이름으로 재산을 등기해 놓았다가(명의신탁) 다시 자신의 이름으로 돌려받으면(소유권 회복) 취득세를 내야 한다.

#명의신탁#해지#소유권 회복#취득세

세무판례

부동산 신탁등기와 관련된 취득세, 등록세 납세 의무

이 판례는 부동산 신탁등기 시 누가 등록세를 내야 하는지, 그리고 등기가 잘못되었을 때는 등록세를 내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또한, 등기 없이도 실제로 부동산을 취득한 것으로 볼 수 있는 경우를 설명합니다.

#부동산 신탁등기#등록세 납세의무자#사실상 취득#수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