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3.05.14

형사판례

부정한 방법으로 주택 공급받은 시점은 언제일까요? - 직장주택조합 사례

직장주택조합 아파트,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루기 위한 좋은 방법 중 하나죠. 하지만 가끔 부정한 방법으로 주택을 공급받으려는 사람들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부정한 방법으로 주택을 공급받았다'는 것은 정확히 언제를 말하는 걸까요? 오늘은 대법원 판례를 통해 이 시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이 사건의 피고인은 실제로는 특정 회사의 사원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재직증명서를 위조하여 직장주택조합 설립 인가를 받았습니다. 이후 이 조합은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을 받았고, 피고인은 입주 대상자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습니다. 하지만 나중에 피고인의 부정한 행위가 드러나 조합 설립 인가가 취소되었습니다.

쟁점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피고인이 부정한 방법으로 주택을 공급받은 시점'입니다. 피고인은 실제로 집을 받진 않았고, 조합 설립 인가까지 취소되었으니 죄가 안된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법원은 다른 판단을 내렸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핵심)

대법원은 옛날 주택건설촉진법(1992.12.8. 법률 제453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1조 제6호와 제47조를 해석하면서, 부정한 방법으로 주택을 공급받았다는 것은 단순히 집을 받아 입주한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입주할 수 있는 권리가 확정된 시점을 의미한다고 판결했습니다.

특히 직장주택조합의 경우, 조합원이 입주 대상자로 정해지고 주택건설사업계획이 승인된 때에 입주할 수 있는 권리가 확정된다고 보았습니다. 즉, 설립 인가가 나중에 취소되었더라도, 사업계획 승인 시점에 이미 범죄가 성립한다는 것입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구 주택건설촉진법(1992.12.8. 법률 제453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1조 제6호, 제47조
  • 대법원 1980.4.22. 선고 80도512 판결
  • 대법원 1993.1.26. 선고 92도2991 판결
  • 대법원 1993.3.9. 선고 92도3115 판결
  • 대법원 1993.5.14. 선고 92도3006 판결
  • 대법원 1993.5.14. 선고 93도472 판결

결론

이 판례는 부정한 방법으로 주택을 공급받는 행위를 엄격하게 제한하고, 주택 공급 질서를 바로잡기 위한 법원의 의지를 보여줍니다. 직장주택조합 가입을 고려하시는 분들은 관련 법규를 준수하고 정당한 방법으로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루시길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직장주택조합 부정 가입, 언제 처벌받을까?

직장주택조합에 부정 가입한 경우, 주택을 실제로 받지 않았더라도 입주할 권리가 확정된 시점에 주택을 공급받은 것으로 본다.

#직장주택조합#부정가입#주택공급시점#입주권확정

형사판례

부정한 방법으로 주택 공급받으면 처벌될까? 주택공급법 위반에 대한 법원의 판단

자격이 없는 사람이 속임수를 써서 주택을 공급받는 것은 불법이며, 관련 법이 개정되었다가 다시 원래대로 돌아온 경우에도 처벌 대상이 된다.

#주택공급#부정한 방법#처벌#죄형법정주의

형사판례

아파트 짓기도 전에 분양하면 불법일까? 직장조합주택 사전분양 논란 해결!

아파트 건설 공사를 시작하기도 전에 분양계약만 맺고 돈을 받는 행위는 주택건설촉진법 위반이 아니다.

#선분양#주택건설촉진법 위반#사업시행#무죄

민사판례

내 집 마련의 꿈, 명의신탁으로 이룰 수 있을까? - 주택조합 가입과 무주택자 자격

다른 사람 이름으로 등기된 주택(명의신탁)을 실제로 소유한 사람은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무주택자로 인정되지 않으며, 따라서 무주택자 자격이 필요한 직장주택조합에도 가입할 수 없습니다.

#명의신탁#무주택자#직장주택조합#조합원 자격

형사판례

아파트 조합원 자격, 제대로 갖춰야죠!

아파트 조합원 자격을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주택 공급권을 샀다 팔았다는 이유로 처벌할 수는 없다. 적법한 주택조합의 조합원 자격을 갖춘 후에야 주택 공급권이 생기고, 그 이후에 양도·양수를 했을 때 처벌할 수 있다.

#주택공급권#양도#양수#대법원

민사판례

부정한 방법으로 아파트 특별공급 받으면 위약금 물어야 할까?

북한이탈주민이 부정한 방법으로 아파트 특별공급 청약에 당첨되어 계약했지만, 이후 부정행위가 발각되어 건설사가 계약을 해제하고 위약금을 부과한 사건에서, 건설사의 위약금 관련 약관 설명 의무가 없다고 본 판결입니다. 흔히 쓰이는 위약금 조항이고, 불법 청약으로 인한 계약 해제 가능성 및 그에 따른 위약금 부과는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사항이라는 것이 판결의 핵심입니다.

#아파트#부정청약#계약해제#위약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