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건설촉진법위반

사건번호:

92도2939

선고일자:

199305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구 주택건설촉진법(1992.12.8. 법률 제453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1조 제6호, 제47조에 규정된 “주택을 공급받거나 받게 한” 시기(=입주할 수 있는 권리상태가 확정된 때) 나. 직장주택조합이 결성된 경우 조합원이 주택을 공급받은 시기(=입주대상자로 정하여진 주택건설사업계획이 승인된 때)

판결요지

가. 구 주택건설촉진법(1992.12.8. 법률 제453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1조 제6호, 제47조에서 말하는 사위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같은 법에 의하여 건설, 공급되는 주택을 공급받거나 받게 한 자라 함은 법조문이 주택의 공급질서를 교란하는 행위를 범죄로서 다스리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는 점에 비추어 보아 같은 법에 규정한 주택의 인도를 받아서 입주하거나 입주하게 한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그것에 입주할 수 있는 권리상태가 확정된 것을 의미한다. 나. 직장조합이 결성된 경우에는 조합원이 입주대상자로 정하여진 직장조합의 주택건설사업계획이 승인된 때에 조합원이 주택에 입주할 수 있는 권리상태가 확정되어 주택의 공급을 받은 것이라고 봄이 상당하다.

참조조문

구 주택건설촉진법(1992.12.8. 법률 제453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1조 제6호, 제47조

참조판례

가.나. 대법원 1993.1.26. 선고 92도2991 판결(공1993,879), 1993.3.9. 선고 92도3115 판결, 1993.5.14. 선고 92도3006 판결(동지), 1993.5.14. 선고 93도472 판결(동지) / 가. 대법원 1980.4.22. 선고 80도512 판결(공1980,12833)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소송대리인 동화법무법인 담당변호사 유승수 외 5인 【원심판결】 서울형사지방법원 1992.10.16. 선고 92노4671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피고인의 상고이유를 본다. 개정 전 주택건설촉진법(1992.12.8. 법률 제453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1조 제6호, 제47조에서 말하는 이른바 사위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같은 법에 의하여 건설, 공급되는 주택을 공급받거나 받게 한 자라 함은 위 법조문이 주택의 공급질서를 교란하는 행위를 범죄로서 다스리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점에 비추어 보아 반드시 같은 법에 규정한 주택의 인도를 받아서 입주하거나 입주하게 한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그것에 입주할 수 있는 권리상태가 확정된 것을 의미하므로 ( 당원 1980.4.22. 선고 80도512 판결 참조) 이 사건에 있어서와 같이 직장조합이 결성된 경우에는 그 조합원이 입주대상자로 정하여진 직장조합의 주택건설사업계획이 승인된 때에 그 조합원이 그 주택에 입주할 수 있는 권리상태가 확정되어 주택의 공급을 받은 것이라고 봄이 상당하다( 당원 1993.1.26. 선고 92도2991 판결; 1993.3.9. 선고 92도3115 판결 각 참조). 소론은 같은법시행규칙 제24조의2 제1항(1991.8.24. 건설부령 제491호로 삭제되기 전의 것)이 개정 전의 같은 법 제38조의3 제1항에서 말하는 “최초로 공급한 날”이라 함은 “국민주택사업주체가 입주예정자에게 통보한 당해 주택의 입주개시일”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위 같은 법 제51조 제6호, 47조소정의 공급의 의미도 동일하게 해석하여야 한다는 취지이나, 위 시행규칙의 규정은 위 법 제38조의3 제1항의 국민주택의 전매행위 등을 제한하는 기간의 개시일을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음에 불과하고 위 법 제51조 제6호, 제47조 소정의 공급의 의미까지 함께 규정하고 있는 것이라고는 볼 수 없으며 당원 1991.4.23. 선고 90도1287 판결도 위 법 제38조의3 제1항 소정의 전매행위 등의 제한기간의 개시일은 위 시행규칙 제24조의2 제1항에 따라 정하여야 한다는 취지이어서 위 판결이 사안이 다른 이사건에 적절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원심판결이 같은 취지로 판단하여, 피고인이 1988.12.8. 주식회사 미성엔지니어링의 사원이 아니면서도 그 회사의 사원으로 재직하고 있는 것처럼 재직증명서를 만들어 서울 은평구청장으로부터 피고인 등을 조합원으로 하는 위 회사 직장주택조합 설립인가를 받았는데 위 조합은 1990.8.23. 서울 구로구청장으로부터 피고인을 입주대상자 중 1인으로 하여 조합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을 받은 사실을 확정한 다음 피고인이 사위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이 사건 조합주택을 공급받았다고 판시한 제1심판결을 유지한 것은 정당하고, 가사 소론과 같이 위 조합의 설립인가가 1992.3.9. 취소되었다 하더라도 그 때문에 그 이전에 이미 성립한 피고인의 이 사건 범죄가 처벌할 수 없게 되는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므로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이에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의 판결한다. 대법관 박만호(재판장) 박우동 김상원(주심) 윤영철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직장주택조합 부정 가입, 언제 처벌받을까?

직장주택조합에 부정 가입한 경우, 주택을 실제로 받지 않았더라도 입주할 권리가 확정된 시점에 주택을 공급받은 것으로 본다.

#직장주택조합#부정가입#주택공급시점#입주권확정

형사판례

부정한 방법으로 주택 공급받으면 처벌될까? 주택공급법 위반에 대한 법원의 판단

자격이 없는 사람이 속임수를 써서 주택을 공급받는 것은 불법이며, 관련 법이 개정되었다가 다시 원래대로 돌아온 경우에도 처벌 대상이 된다.

#주택공급#부정한 방법#처벌#죄형법정주의

형사판례

아파트 짓기도 전에 분양하면 불법일까? 직장조합주택 사전분양 논란 해결!

아파트 건설 공사를 시작하기도 전에 분양계약만 맺고 돈을 받는 행위는 주택건설촉진법 위반이 아니다.

#선분양#주택건설촉진법 위반#사업시행#무죄

민사판례

내 집 마련의 꿈, 명의신탁으로 이룰 수 있을까? - 주택조합 가입과 무주택자 자격

다른 사람 이름으로 등기된 주택(명의신탁)을 실제로 소유한 사람은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무주택자로 인정되지 않으며, 따라서 무주택자 자격이 필요한 직장주택조합에도 가입할 수 없습니다.

#명의신탁#무주택자#직장주택조합#조합원 자격

형사판례

아파트 조합원 자격, 제대로 갖춰야죠!

아파트 조합원 자격을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주택 공급권을 샀다 팔았다는 이유로 처벌할 수는 없다. 적법한 주택조합의 조합원 자격을 갖춘 후에야 주택 공급권이 생기고, 그 이후에 양도·양수를 했을 때 처벌할 수 있다.

#주택공급권#양도#양수#대법원

민사판례

부정한 방법으로 아파트 특별공급 받으면 위약금 물어야 할까?

북한이탈주민이 부정한 방법으로 아파트 특별공급 청약에 당첨되어 계약했지만, 이후 부정행위가 발각되어 건설사가 계약을 해제하고 위약금을 부과한 사건에서, 건설사의 위약금 관련 약관 설명 의무가 없다고 본 판결입니다. 흔히 쓰이는 위약금 조항이고, 불법 청약으로 인한 계약 해제 가능성 및 그에 따른 위약금 부과는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사항이라는 것이 판결의 핵심입니다.

#아파트#부정청약#계약해제#위약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