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1.07.23

민사판례

비계공 추락사고, 누구의 책임일까?

건설현장에서 일어나는 안타까운 사고 중 하나가 바로 비계 추락 사고입니다. 오늘은 비계 해체 작업 중 발생한 추락사고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고, 사용자와 근로자의 책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한 건설현장에서 비계공 A씨는 비계 해체 작업 중 발판에서 미끄러지면서 손에 잡고 있던 비계틀목까지 부러져 추락하는 사고를 당했습니다. A씨는 시공회사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1. 시공회사의 책임 (사용자 책임): 법원은 시공회사의 현장 감독이 비계 해체 작업의 위험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안전조치를 취해야 함에도 이를 소홀히 한 과실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특히 A씨가 미숙한 비계공이었던 점, 비계틀목의 상태 점검 및 안전대 착용 지시 등을 하지 않은 점을 들어 시공회사의 사용자 책임을 인정했습니다. (민법 제756조, 제763조)

  2. 근로자의 책임 (과실상계): 하지만 법원은 A씨에게도 사고 발생에 대한 책임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비계 해체 작업의 위험성을 알고 있었음에도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은 과실이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A씨의 과실 비율을 40%로 보고, 시공회사는 A씨의 손해액 중 60%만 배상하도록 판결했습니다. (민법 제396조, 제763조, 제393조)

  3. 손해배상 범위: A씨는 사고 후 다른 일을 하면서 얻은 수입을 손해배상액에서 제외해야 한다는 시공회사의 주장에 대해 법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즉, 사고로 인해 일부 노동능력을 잃은 피해자가 잔여 노동력으로 얻은 수입은 사고로 입은 손해와 별개라는 것입니다.

  4. 상해와 사고의 인과관계: 흥미로운 점은, A씨의 손 부상에 대한 부분입니다. 사고 직후 병원 진단서에는 손 부상에 대한 기록이 없었는데, 1년 후 다른 병원 진단서에는 손 부상이 기록되어 있었습니다. 법원은 이 부분에 대한 심리가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파기환송했습니다. (민법 제750조, 민사소송법 제183조, 제193조 제2항)

핵심 정리

  • 건설현장에서의 안전사고는 사용자의 안전배려의무 소홀과 근로자의 부주의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법원은 양측의 과실 정도를 따져 손해배상 책임을 결정합니다.
  • 사고로 인한 손해와 잔여 노동력으로 얻은 수입은 별개로 계산됩니다.
  • 상해와 사고 사이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입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판례를 통해 건설현장 안전의 중요성과 사용자 및 근로자 모두의 안전 의식 고취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안전한 작업 환경 조성을 위해 모두가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건설현장 사고 책임, 누구에게 있을까? 도급과 안전관리 책임에 대한 법원의 판단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추락사고에 대해 원도급인과 하도급인의 안전조치 의무 위반 여부를 판단한 사례. 원도급인은 공사 전체를 하도급 준 경우 안전조치 의무가 없지만, 구체적인 지시·감독을 했다면 의무가 있다. 하도급인은 법령과 안전규칙에 명시된 안전조치를 했는지가 중요하며, 추가적인 조치 미흡만으로는 처벌할 수 없다.

#건설현장 추락사고#원도급인 안전조치 의무#하도급인 안전조치 의무#지시·감독

형사판례

건설현장 붕괴사고 책임은 누구에게? - 사업주, 하도급, 감리의 안전관리 의무

건설현장 붕괴사고 발생 시, 원수급인은 현장 안전관리 의무를 지지만, 하수급인은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보건조치 의무 주체가 아니라는 판결. 공사감리자는 감리업무 소홀로 사고 발생 시 업무상과실치사상죄 책임을 진다.

#건설현장 붕괴사고#책임소재#원수급인#하수급인

형사판례

건설현장 추락사고, 하도급 현장소장의 책임은?

하도급 공사현장에서 안전덮개가 없는 옥상 개구부로 작업자가 추락하여 다친 사고에서, 현장 안전관리 책임자에게 업무상 과실치상죄가 인정된 사례.

#공사현장#안전관리 책임자#업무상 과실치상#안전덮개

민사판례

건물 철거 중 사고, 누구 책임일까? 지입기사와 회사 모두 책임져야 한다!

중기회사에 소속된 공기압축기 지입기사가 부주의한 작업 지시로 부레카 기사를 다치게 한 경우, 지입기사 개인의 책임뿐 아니라 지입 회사에도 사용자 책임이 있다는 판결.

#지입차#기사 과실#사고#지입 회사

민사판례

건축 현장 추락 사고, 책임은 누구에게?

건축주가 각 공정을 부분별로 도급을 주었더라도, 추락방지 안전시설 설치 의무는 건축주에게 있다는 판결. 단순히 감리만 했다는 이유로 책임을 회피할 수 없다.

#건축주#부분별 도급#추락방지 안전시설#설치 의무

민사판례

작업 중 사고, 누구의 책임이 더 클까요? 과실비율 판단은 이렇게!

회사 작업장에서 기계 수리 중 사고를 당한 직원(원고)의 과실 비율을 1심보다 높게 평가한 2심 판결에 대해, 대법원은 과실 비율 평가가 지나치게 무겁다고 판단하여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하급심에 돌려보냈습니다.

#작업중 사고#과실비율#원심파기#환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