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을 빌리고 갚지 못하는 상황,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불행한 일입니다. 특히 빚이 자산보다 많아진 '부채초과' 상태라면 파산을 고려하게 되죠. 하지만 단순히 빚이 많다고 해서 바로 파산 선고를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법원은 채무자가 진짜 갚을 능력이 없는지, 즉 '지급불능' 상태인지 꼼꼼하게 따져봅니다. 오늘은 지급불능에 대한 법원의 판단 기준을 살펴보고, 관련된 대법원 판례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지급불능'이란 무엇일까요?
단순히 현재 시점에서 빚을 갚을 돈이 없는 것을 뜻하지 않습니다.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305조 제1항
은 "채무자가 지급을 할 수 없는 때에는 법원은 신청에 의하여 결정으로 파산을 선고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지급을 할 수 없는 때', 즉 지급불능이란 **"갚아야 할 빚을 일반적·계속적으로 갚을 수 없는 객관적인 상태"**를 의미합니다.
핵심은 '일반적·계속적' 변제 가능성!
법원은 개인 채무자의 지급불능 여부를 판단할 때, 단순히 현재 자산보다 부채가 많은지만 보는 것이 아닙니다. 채무자의 나이, 직업, 경력, 기술, 건강 상태, 가족관계, 재산과 부채 규모 등 모든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합니다. 특히 중요한 것은 미래에 돈을 벌어 빚을 갚을 가능성입니다.
미래 소득까지 고려한다는 것은 무슨 뜻일까요?
법원은 채무자가 장래에 얼마나 벌 수 있을지 예측하고, 생활비 등 필수 지출을 뺀 나머지 금액으로 빚을 갚아나갈 수 있는지 판단합니다. 즉, 빚보다 재산이 적더라도 꾸준히 소득을 얻어 빚을 상환할 가능성이 있다면 지급불능으로 인정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대법원은 어떻게 판단했을까요?
대법원 2009. 5. 28.자 2008마1904, 1905 결정 등 관련 판례를 보면, 법원은 채무자의 변제 능력을 매우 엄격하게 심사합니다. 단순히 "젊고 건강하니 앞으로 돈을 벌 수 있겠지"와 같은 추상적인 판단은 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꾸준한 소득이 있는지, 그 소득으로 생활비를 제외하고도 빚을 갚아나갈 수 있는지 구체적인 자료와 증거를 바탕으로 객관적인 판단을 내립니다.
정리하자면, 파산 신청을 고려하고 있다면 단순히 빚이 많다는 사실만으로 가능 여부를 판단해서는 안 됩니다. 본인의 상황에 맞는 객관적인 자료를 준비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꼼꼼하게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신의 상황에 맞는 정확한 법률 조언을 위해서는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민사판례
빚을 갚을 수 없는 상태, 즉 '지급불능'이란 단순히 돈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재산, 신용, 수입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앞으로도 빚을 계속해서 갚아나갈 능력이 없다고 객관적으로 판단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민사판례
빚이 재산보다 많더라도 (부채초과 상태) 현재의 소득, 나이, 가족관계 등을 고려했을 때 빚을 꾸준히 갚아나갈 능력이 있다면 파산 선고를 받을 수 없습니다.
민사판례
빚보다 재산이 적은 사람이라도 당장 갚아야 할 빚을 계속해서 갚을 수 없는 상태인지 꼼꼼하게 따져봐야 파산 선고를 할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단순히 젊고 건강하다는 이유만으로는 파산을 기각할 수 없고, 미래에 벌 수 있는 돈, 생활비, 실제로 빚 갚는 데 쓸 수 있는 돈 등을 구체적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민사판례
빚이 재산보다 많다고 무조건 파산 선고를 받는 것은 아닙니다. 법원은 빚을 갚을 능력이 있는지, 즉 "지급불능" 상태인지를 꼼꼼히 따져봅니다. 특히 젊고 일할 능력이 있는 사람의 경우, 미래에 벌 수 있는 소득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민사판례
빚을 갚을 능력이 없어서 당장 갚아야 할 빚을 계속해서 갚지 못하는 상태를 '지급불능'이라고 하며, 이는 파산 선고의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민사판례
빚이 재산보다 많은 사람이 파산 신청을 할 때, 단순히 젊고 건강하다는 이유만으로 파산을 기각해서는 안 되며, 미래에 벌 수 있는 돈, 생활비 등을 고려하여 빚을 갚을 능력이 있는지 객관적으로 판단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또한, 빚을 갚을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파산 대신 개인회생 등 다른 제도를 이용하도록 유도해야 하지만, 개인회생이 불가능한 상황인지도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는 판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