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2.06.28

민사판례

사립학교 부동산 담보 설정과 경영자 판단 기준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립학교 부동산을 둘러싼 법적 분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건물 소유자와 실제 경영자가 다를 경우, 부동산 담보 설정의 효력은 어떻게 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사립학교 부동산은 함부로 담보로 설정할 수 없다!

사립학교법은 학교 교육에 직접 사용되는 학교법인의 재산(교지, 교사 등)을 매도하거나 담보로 제공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사립학교법 제28조 제2항, 동법 시행령 제12조). 이 규정은 학교법인뿐 아니라 사립학교 경영자에게도 똑같이 적용됩니다(사립학교법 제51조). 즉, 설립자가 학교 운영을 위해 내놓은 땅이나 건물은 설령 개인 명의로 되어 있더라도 함부로 담보로 설정할 수 없습니다. 만약 이를 어기고 담보 목적으로 가등기나 근저당권 설정 등기를 한다면 그 등기는 무효입니다.

그렇다면 '사립학교 경영자'는 누구일까요?

사립학교 경영자란 학교법인을 제외하고, 사립학교를 설치·경영하는 공공단체 외의 법인 또는 개인을 말합니다(사립학교법 제2조 제3항). 단순히 건물을 소유하고 있다고 해서 경영자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건물주가 경영자가 아닌 경우, 담보 설정은 유효할까요?

한 가지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유치원 건물 소유자가 타인 명의로 유치원 설립인가를 받고 제3자에게 건물과 유치원 운영권을 임대했습니다. 이 경우, 건물 소유자는 사립학교(유치원) 경영자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건물 소유자는 사립학교법의 제한을 받지 않고 건물을 담보로 제공할 수 있습니다. 비록 설립인가 과정에서 관할 교육청에 담보 설정을 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했더라도, 이는 건물 소유자와 교육청 사이의 약속일 뿐, 담보 설정 자체를 무효로 만들지는 않습니다.

확인의 소, 언제 가능할까요?

확인의 소는 자신의 권리나 법적 지위에 불안이나 위험이 있을 때, 그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제기하는 소송입니다. 다만, 확인판결을 받는 것이 분쟁 해결에 가장 효과적이고 적절한 방법일 때에만 허용됩니다 (민사소송법 제228조). 만약 다른 구제 방법이 있다면 확인의 소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 사립학교법 제2조 제3항, 제28조 제2항, 제51조, 사립학교법시행령 제12조
  • 민사소송법 제228조
  • 대법원 1997. 3. 14. 선고 96다55693 판결
  • 대법원 2000. 6. 9. 선고 99다70860 판결
  • 대법원 2000. 6. 23. 선고 2000다12761, 12778 판결
  • 대법원 1999. 9. 17. 선고 97다54024 판결 등

오늘은 사립학교 부동산 담보 설정과 관련된 법적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복잡한 법률 문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해결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사립학교 땅, 함부로 담보 잡았다간 큰일나요! 💸🚫

사립학교 교지를 담보로 돈을 빌리는 것은 불법이며, 설령 담보를 제공한 학교 설립자라도 나중에 이를 무효라고 주장할 수 있다.

#사립학교#교지#근저당#무효

민사판례

사립학교 교사를 담보로 잡히면 안 돼요!

사립학교 운영자가 학교 건물을 담보로 대출을 받았더라도 그 담보는 무효이며, 설령 운영자가 그 사실을 알고 대출을 받았더라도 무효 주장이 가능하다.

#사립학교#교사#담보#무효

상담사례

학교 땅에 근저당 설정, 괜찮을까요? 학교법인 돈 빌려주기 전 꼭 알아야 할 것!

학교법인에 돈을 빌려주고 학교 땅을 담보로 받는 것은 학교 운영에 필수적인 재산은 담보 제공이 불가하며, 설립자 명의라도 학교 용도로 사용 중이면 무효이고, 교육청 허가 없는 약속어음도 무효가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학교#근저당#담보#학교법인

민사판례

사립학교 명의신탁 부동산, 누구 땅일까요?

사립학교 법인 명의로 신탁된 부동산을 실소유주에게 돌려줄 때는 사립학교법상 관할청의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된다.

#명의신탁#해지#사립학교법#처분허가

민사판례

학교 기본재산, 함맘대로 팔 수 없어요!

사립학교가 소유한 기본재산(학교 운영에 필요한 핵심 재산)은 빚 때문에 경매로 넘어가더라도 교육청 허가 없이는 소유권이 넘어갈 수 없다.

#기본재산#강제경매#감독청 허가#사립학교법

민사판례

학교 운영권 이전 시 학교 재산 처분에 대한 법원의 판단

학교 운영권이 다른 학교법인으로 이전될 경우, 기존 학교법인은 교육감의 허가를 받아 학교 교육에 직접 사용되던 재산(예: 교지, 체육장)을 처분할 수 있다.

#학교 운영권 이전#재산 처분#교육감 허가#사립학교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