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인도피죄, 어떤 죄일까요?
누군가 죄를 저질렀을 때, 그 사람이 잡히지 않도록 숨겨주거나 도망치도록 돕는 행위를 생각해 보셨나요? 이런 행위는 범인도피죄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숨겨주는 것뿐 아니라, 수사나 재판을 방해하는 어떤 행위든 범인도피죄가 될 수 있습니다. 심지어 수사가 시작되기 전이라도, 죄를 저지른 사람이라는 걸 알고 도망치도록 도왔다면 이 죄가 성립합니다. 중요한 건 실제로 수사나 재판이 방해되었는지가 아니라, 그럴 위험이 있었는지입니다.
사실혼 관계, 법적으로 '친족'일까요?
이번 판례의 핵심은 사실혼 관계에 있는 배우자가 범인도피를 했을 때, '친족'으로 봐서 처벌을 면제할 수 있는지입니다. 형법 제151조 제2항과 제155조 제4항에서는 친족이 본인을 위해 범인도피나 증거인멸 등을 했을 경우 처벌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사실혼 관계의 배우자는 어떨까요?
법원은 사실혼 관계에 있는 배우자는 법적으로 '친족'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즉, 사실혼 관계라도 배우자의 범죄를 돕기 위해 범인도피나 증거인멸을 하면 처벌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비록 사회적으로 부부처럼 생활한다고 해도, 법적으로는 친족으로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처벌 면제 조항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이죠.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이번 판례는 사실혼 관계에 있는 배우자라도 범인도피죄에서 예외가 될 수 없다는 것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법 앞에서는 혈연이나 법률혼에 따른 친족 관계만 인정되며, 사실혼 관계는 이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을 기억해야겠습니다.
형사판례
범인도피죄는 범인의 도주를 돕거나 도주를 직접적으로 용이하게 하는 행위에 한정되며, 간접적인 도움이나 사회적으로 상당한 행위는 범인도피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형사판례
누군가 범죄를 저지른 사람과 다른 사람을 만나게 해주고, 그 만남을 통해 범죄자가 도망가기 쉽게 만들었다면 범인도피죄가 성립한다.
형사판례
단순히 수사기관에서 범인에 대해 허위 진술을 했다고 해서 무조건 범인도피죄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수사기관을 적극적으로 속여서 범인의 발견이나 체포를 어렵게 만들 정도가 되어야 범인도피죄로 처벌받습니다.
형사판례
타인의 성명을 도용한 음주운전자가 석방될 때 허위 신원보증을 해준 경우, 그 자체만으로는 범인도피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형사판례
수사기관에서 참고인이 범인에 대해 허위 진술을 하더라도, 적극적으로 수사기관을 속여 범인의 발견이나 체포를 어렵게 만들 정도가 아니라면 범인도피죄로 처벌할 수 없다.
형사판례
교통사고를 낸 진범 대신 다른 사람이 자수하여 진범의 처벌을 막았다면, 진범이 종합보험에 가입했더라도 범인도피죄가 성립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