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1.02.26

형사판례

사형제도는 합헌? 자수하면 감형될까? 살인사건 판결 살펴보기

오늘은 살인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살펴보면서 사형제도의 위헌 여부와 자수 주장에 대한 법원의 판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사건은 여러 명의 피해자가 발생한 심각한 범죄였습니다.

사건의 쟁점

이 사건의 피고인들은 여러 건의 강도, 강간, 그리고 살인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피고인 측 변호인은 사형제도 자체가 위헌이라는 주장과 함께, 피고인들이 자수했으므로 감형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1. 사형제도는 합헌이다.

법원은 헌법 제12조 제1항에서 형벌의 종류를 제한하지 않고 법률로 정하도록 위임하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의 현실과 국민의 법 감정 등을 고려할 때, 사회 질서 유지와 공공복리를 위해 사형을 규정한 것이 위헌이라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는 기존 대법원 판례 (1963.3.28. 선고 62도241 판결, 1967.9.19. 선고 67도988 판결 등) 와 같은 입장입니다.

  1. 자수 주장은 형량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일 뿐이다.

법원은 자수가 형을 감경하는 사유이긴 하지만, 판사의 재량에 따라 결정되는 사항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즉, 자수했다고 해서 무조건 감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원심 법원이 자수 주장에 대해 따로 판단하지 않았더라도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형법 제52조 제1항, 형사소송법 제323조 제2항 참조) 이 부분 역시 대법원의 기존 판례 (1989.5.9. 선고 89도420 판결, 1990.4.27. 선고 90도321 판결, 1990.10.23. 선고 90도1818 판결 등)와 일치합니다.

  1. 피고인들의 상고는 기각되었다.

법원은 피고인 측의 다른 주장들, 즉 살인의 고의가 없었다는 주장과 심신미약 상태였다는 주장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결국 범행의 잔혹성, 피해의 심각성 등을 고려하여 원심의 사형 판결을 확정했습니다.

결론

이 판결은 사형제도의 합헌성과 자수의 효력에 대한 법원의 입장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극악무도한 범죄에 대해서는 엄중한 처벌이 필요하다는 법원의 판단을 확인할 수 있는 사례입니다. (참고: 헌법 제12조 제1항, 형법 제41조, 형법 제52조 제1항, 형사소송법 제323조 제2항)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사형제도, 헌법에 어긋나지 않는다

사형을 규정한 법률과 사형 집행 절차는 헌법에 위배되지 않는다.

#사형제도#위헌#합헌#생명권

형사판례

사형제도, 헌법에 어긋나지 않아

사형제도 자체는 헌법에 위반되지 않는다.

#사형제도#합헌#헌법#형벌

형사판례

자수했다고 무조건 감형되는 건 아니에요!

범죄자가 자수를 했다고 해서 법원이 무조건 형을 감경해 줘야 하는 것은 아니다. 법원은 여러 상황을 고려하여 자수 감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자수#감형#재량#심신미약

형사판례

자수하면 무조건 감형? 소송비용은 누가 내야 할까?

이 판례는 자수를 했다고 해서 무조건 감형되는 것은 아니며, 소송비용은 형벌이 아니기 때문에 항소심에서 새롭게 부담하게 되더라도 불이익변경금지원칙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자수감경#소송비용#불이익변경금지원칙

형사판례

자수, 죄를 뉘우쳐야 인정될까?

진정한 자수로 인정받으려면 죄를 인정하고 뉘우쳐야 하며, 여러 죄 중 일부만 자수했을 경우 그 죄에 대해서만 감경 효과가 있다.

#자수#요건#효력#죄인정

형사판례

자수했는데 왜 감형 안 해줘요? - 자수와 형량 감경에 대한 오해

자수를 했다고 해서 법원이 무조건 감형을 해줘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판결문에 자수에 대한 판단 여부를 꼭 기재해야 하는 것도 아닙니다.

#자수#감형#필수적 고려사항 아님#판결문 기재 의무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