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사례

상가 임대, 2기 차임 연체하면 계약 해지될 수 있나요? 😥

안녕하세요! 오늘은 상가 임대차 계약과 관련하여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차임 연체와 계약 해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2기 차임 연체 시 계약 해지가 가능한지에 대한 핵심 질문을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임차인분들이 "3기 차임 연체"가 되어야 임대인이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고 알고 계십니다. 상가임대차보호법 제10조 제1항 제1호에 따라 3기 차임 연체 시 임대인은 계약 갱신을 거절할 수 있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2기 차임 연체 시에는 계약 해지가 불가능할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2기 차임 연체 시에도 계약 해지가 가능합니다. 단, 이는 상가임대차보호법이 아닌 민법에 근거한 것입니다.

민법 제640조는 "건물 기타 공작물의 임대차에는 당사자의 약정이 없으면 임차인의 차임 연체액이 2기에 달하는 때에는 임대인은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즉, 상가임대차보호법의 3기 차임 연체에 의한 갱신 거절과는 별개로, 민법에 따라 2기 차임 연체 시 임대인은 계약 해지를 요구할 수 있는 것이죠.

이에 대해 대법원 판례도 있습니다. (대법원 2002. 9. 4. 선고 2002다28097 판결 등) 판례는 상가임대차보호법 제10조 제1항이 민법 제640조에 대한 특례가 아니라고 판단하며, 상가 임대차에도 민법 제640조가 적용된다고 명시했습니다. 따라서 임대차계약서에 2기 차임 연체 시 계약 해지 조항을 넣는다고 해도, 이는 법 위반이 아니며 유효합니다.

정리하자면, 상가 임대차에서 3기 차임 연체는 계약 갱신 거절 사유이며, 2기 차임 연체는 민법에 따른 계약 해지 사유입니다. 두 가지는 별개의 사안이라는 점을 기억해 두시면 좋겠습니다. 따라서 임대차계약서 작성 시 2기 차임 연체 시 계약 해지 조항이 있다면, 이는 법적으로 유효한 조항임을 알아두셔야 합니다.

주의: 이 글은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법률적 자문이 아닙니다. 구체적인 법률 문제에 대해서는 전문가와 상담하시길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2기 차임 연체, 상가 임대차 계약 해지할 수 있을까요?

상가 임차인이 2기 차임을 연체하면, 임대인은 민법에 따라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상가임대차#차임연체#계약해지#2기연체

민사판례

상가 임대차, 2기 차임 연체하면 계약 해지 가능할까? (갱신 전후 연체 포함)

상가 임차인이 계약 갱신 전부터 차임을 연체하여 갱신 후 연체액이 2기분에 달하면, 임대인은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상가임대차보호법에도 불구하고 민법상 해지 규정이 적용된다.

#상가임대차#차임연체#계약해지#2기분

상담사례

2기 연체하면 쫓겨날 수 있다?! 상가 임대차, 차임 연체와 계약 해지에 대한 오해와 진실!

상가 임대차 계약서에 '2기 차임 연체 시 계약 해지' 특약이 있으면, 상가임대차보호법의 3기 연체 규정에도 불구하고 해당 특약이 유효하여 2기 연체시 쫓겨날 수 있으므로 계약서를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상가임대차#차임연체#계약해지#2기연체

민사판례

상가 임대차, 차임 연체하면 계약 해지될 수 있다!

상가 임대차에서 임차인이 차임을 2기분 연체하면, 임대인은 상가임대차보호법의 보호를 받는 임차인이라도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상가임대차#차임연체#2기분 연체#계약해지

상담사례

2기 차임 연체, 계약 갱신했어도 해지될 수 있습니다!

계약 갱신 전후의 월세 연체액이 2개월 치(2기 차임)에 달하면 계약이 해지될 수 있습니다.

#2기 차임 연체#계약 갱신#계약 해지#월세

상담사례

상가 임대차 갱신 후에도 이전 연체기간 포함 2기 연체면 해지될 수 있다?!

상가 임대차 계약 갱신 후에도 이전 연체 기록이 포함되어 2기 연체가 되면 계약 해지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상가 임대차#갱신#연체#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