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의 판결에 불복해서 상고를 했는데, 정해진 기간 안에 상고이유서를 제출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대법원 판례를 바탕으로 상고이유서 제출과 상고 기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상고이유서, 왜 중요할까요?
상고는 대법원에 하는 마지막 재판 단계입니다. 상고심에서는 법률적인 문제점만 다루기 때문에, 상고이유서를 통해 어떤 법률적인 문제가 있는지 명확하게 밝혀야 합니다. 쉽게 말해, 왜 이전 판결이 잘못되었는지 법적인 근거를 들어 설명해야 하는 것이죠.
상고이유서 제출기한 놓치면 상고 기각!
대법원은 상고인이 상고간주통지서를 받고도 정해진 기간(20일) 안에 상고이유서를 제출하지 않으면 변론 없이 상고를 기각할 수 있다고 판시했습니다. 상고간주통지서에는 상고이유서 제출기한과 기한을 넘기면 상고가 기각된다는 내용이 적혀 있습니다. 즉, 20일이라는 기한을 꼭 지켜야 합니다.
관련 법 조항
이러한 판결의 근거가 되는 법 조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참고 판례
대법원은 이와 같은 취지로 여러 차례 판결을 내렸습니다. 몇 가지 예시를 소개합니다.
결론
상고는 법적인 절차를 엄격하게 준수해야 하는 과정입니다. 특히 상고이유서 제출기한을 지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기한을 놓치면 상고가 기각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따라서 상고를 진행할 때는 관련 법률 및 절차를 꼼꼼하게 확인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민사판례
대법원에 상고했지만, 정해진 기간 안에 상고이유서를 제출하지 않으면 상고는 기각됩니다.
형사판례
1심 판결에 불복하여 항소했지만, 정해진 기간 내에 항소이유서를 제출하지 않으면, 나중에 대법원에 상고할 때 사실오인이나 증거 판단의 잘못을 이유로 다툴 수 없습니다.
민사판례
과거 '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이 적용되던 시기에 상고허가를 받기 위한 이유서를 정해진 기간 안에 제출하지 않으면, 현재 민사소송법에 따라 변론 없이 상고가 기각된다는 판례입니다.
민사판례
상고이유서를 기한 내에 제출했음에도 법원의 실수로 누락되어 상고가 기각된 경우, 재심을 청구할 수 있는 사유에 해당한다.
형사판례
교도소에 수감된 사람이 상소이유서를 기간 내에 교도관에게 제출했지만 법원에 늦게 도착한 경우에도 유효하다. 이전에는 무효였지만, 대법원 판례가 변경되었다.
상담사례
항소이유서 제출 기간 전 항소 기각은 피고인의 권리 침해이므로 상고를 통해 구제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