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생활법률

상속 소송, 패소하면 상대방 변호사 비용까지 다 내야 하나요?

상속 문제로 가족 간 분쟁이 생겨 소송까지 고려하고 계신다면 마음고생이 심하실 겁니다. 특히 소송에서 지면 상대방 변호사 비용까지 모두 부담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더욱 걱정되실 텐데요. 오늘은 패소 시 부담하는 소송비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패소하면 상대방 변호사 비용 '전부'를 부담하는 건 아닙니다.

소송에서 지면 승소한 상대방의 소송비용을 부담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민사소송법 제98조). 이 소송비용에는 인지대, 송달료, 감정료, 증인 여비, 그리고 변호사 보수도 포함됩니다. 하지만 상대방 변호사에게 실제로 지급된 금액 전부를 부담하는 것은 아니고, 법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계산된 금액만 부담합니다.

패소 시 부담하는 소송비용은 어떻게 계산될까요?

변호사 보수는 「변호사보수의 소송비용 산입에 관한 규칙」에 따라 소송물가액(소송에서 다투는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1억 원의 상속재산을 두고 소송에서 패소했다면 상대방 변호사 보수로 최대 740만 원까지만 부담할 수 있습니다. (소송물가액 1억원 이하 구간의 산입비율에 따라 계산된 금액) 물론, 상대방이 실제로 변호사에게 740만 원보다 적은 금액을 지급했다면 그 금액만 부담하면 됩니다. 자세한 계산 기준은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

변호사 보수 산입 기준표 (변호사보수의 소송비용 산입에 관한 규칙 별표)

소송물가액 소송비용 산입비율 계산식
300만원 이하 - 30만원
300만원 초과 ~ 2,000만원 이하 10% 30만원 + (소송목적의 값 - 300만원) × 10/100
2,000만원 초과 ~ 5,000만원 이하 8% 200만원 + (소송목적의 값 - 2,000만원) × 8/100
5,000만원 초과 ~ 1억원 이하 6% 440만원 + (소송목적의 값 - 5,000만원) × 6/100
1억원 초과 ~ 1억 5천만원 이하 4% 740만원 + (소송목적의 값 - 1억원) × 4/100
1억 5천만원 초과 ~ 2억원 이하 2% 940만원 + (소송목적의 값 - 1억 5천만원) × 2/100
2억원 초과 ~ 5억원 이하 1% 1,040만원 + (소송목적의 값 - 2억원) × 1/100
5억원 초과 0.5% 1,340만원 + (소송목적의 값 - 5억원) × 0.5/100

승소자가 부담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승소했더라도 소송을 지연시키거나 불필요한 행위를 한 경우, 해당 부분에 대한 소송비용은 승소자가 부담해야 할 수 있습니다(민사소송법 제99조, 제100조).

소송비용 확정은 어떻게 하나요?

판결문에 소송비용 부담에 대한 내용이 있지만, 구체적인 금액까지는 나와있지 않습니다. 정확한 금액을 알기 위해서는 '소송비용액확정 결정' 신청을 법원에 해야 합니다(민사소송법 제110조).

상속 소송은 감정적으로도, 금전적으로도 부담이 큰 일입니다. 소송 전에 전문가와 충분히 상담하여 신중하게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자세한 사항은 대한법률구조공단 등 법률 지원 기관에 문의하시면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소송비용 분담과 변호사 보수, 얼마나 내야 할까?

소송에서 양쪽이 비용을 일정 비율로 나눠 내기로 했을 때, 법원이 정확한 금액을 어떻게 계산하는지, 그리고 변호사 보수가 너무 많다고 생각될 때 법원이 줄일 수 있는 기준은 무엇인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소송비용#상계#변호사 보수#감액

민사판례

공동소송에서 소송비용, 특히 변호사 보수 계산은 어떻게 할까요?

여러 명이 함께 소송하는 경우, 소송비용, 특히 변호사 보수는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이 판례는 공동소송인 일부만 비용 확정을 신청하거나, 일부만 상대로 신청했을 때, 그리고 본소와 반소가 함께 있는 경우 등 다양한 상황에서 변호사 보수를 포함한 소송비용 계산 방법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공동소송#소송비용#변호사보수#계산방법

상담사례

항소심 소송비용, 변호사 보수는 얼마까지 받을 수 있을까? (feat. 항소 취지 감축)

항소심에서 상대방이 항소 취지를 감축한 경우, 피항소인이 변호사를 선임할 *당시* 상대방이 다투던 금액을 기준으로 변호사 보수가 계산된다.

#항소심#소송비용#변호사 보수#항소 취지 감축

상담사례

파기환송 후 다시 상고? 변호사 보수, 두 번 받나요?

파기환송 후 재상고는 별개의 심급으로 간주되어 변호사 보수도 이전 상고와 별도로 계산해야 한다.

#파기환송#상고#변호사 보수#별개 심급

민사판례

소송비용, 어디까지 따져볼 수 있을까? 공동소송인의 변호사 보수 계산은 어떻게?

여러 명이 함께 소송을 진행하면서 같은 변호사를 선임한 경우, 소송비용 중 변호사 보수는 각자 따로 계산해서 합산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소송 가액을 기준으로 한 번에 계산해야 한다. 만약 소송 내용이 겹치는 부분이 있다면, 가장 큰 금액의 소송 가액만 기준으로 계산한다. 또한, 소송비용 확정 절차에서는 비용 금액만 정할 수 있고, 누가 비용을 부담할지는 다시 다룰 수 없다.

#공동소송#소송비용#변호사보수#계산방법

민사판례

파기환송 후 소송비용과 변호사 보수에 대한 대법원 판결 해설

대법원은 파기환송 후 소송비용은 환송 전의 소송비용까지 포함하며, 파기환송 후 다시 상고된 사건은 새로운 심급으로 보아 변호사 보수를 별도로 계산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파기환송#소송비용#변호사보수#심급별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