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1.10.09

민사판례

상속회복청구, 10년 기간 제한은 위헌!

돌아가신 분의 재산을 둘러싼 분쟁은 가족 간에도 깊은 상처를 남기곤 합니다. 특히 정당한 상속권이 침해당했을 때, 권리를 되찾기 위한 법적 절차가 까다롭다면 더욱 힘든 시간을 보내게 되겠죠. 오늘은 이와 관련된 중요한 판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바로 상속회복청구권의 10년 기간 제한에 대한 위헌 결정입니다.

과거에는 상속이 시작된 날로부터 10년이 지나면 상속재산을 되찾을 권리를 행사할 수 없었습니다. 이는 민법 제999조 제2항에 명시되어 있었죠. 하지만 이 조항이 상속권자의 권리를 지나치게 제한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습니다.

결국 헌법재판소는 2001년 7월 19일, 민법 제999조 제2항 중 "상속이 개시된 날부터 10년" 부분이 헌법에 위반된다는 결정을 내렸습니다(99헌바9·26·84, 2000헌바11, 2000헌가3, 2001헌가23(병합) 결정). 이와 더불어 이전 민법(1990년 1월 13일 법률 제4199호로 개정되기 전) 제999조에 준용되는 제982조 제2항 중 "상속이 개시된 날로부터 10년" 부분 역시 위헌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이 판결의 의미는 단순히 해당 사건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은 해당 법률이나 조항이 재판의 근거가 된 모든 사건에 영향을 미칩니다. 즉, 위헌 결정 이전에 소송이 진행 중이었거나, 이후에 제기된 소송 모두에 적용되는 것이죠. 따라서 10년이 지났다는 이유로 상속회복청구를 기각하는 것은 더 이상 정당화될 수 없습니다.

이번 판례는 상속권 보호의 범위를 넓혔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과거 억울하게 상속재산을 되찾지 못했던 분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주는 판결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참고 법률 및 판례:

  • 민법 제999조 제2항
  • 구 민법(1990. 1. 13. 법률 제419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82조 제2항, 제999조
  • 헌법재판소법 제47조 제2항
  • 대법원 1993. 1. 15. 선고 92다12377 판결
  • 대법원 1994. 2. 22. 선고 93다58295 판결
  • 대법원 1996. 3. 12. 선고 95다40755 판결
  • 대법원 2000. 2. 25. 선고 99다54332 판결
  • 헌법재판소 2001. 7. 19.자 99헌바9·26·84, 2000헌바11, 2000헌가3, 2001헌가23(병합) 결정
  • 대법원 2001. 8. 24. 선고 2000다17605 판결
  • 대법원 2001. 9. 25. 선고 2001다36382 판결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상속회복청구 소송의 제척기간, 헌법에 어긋나지 않는다!

상속회복청구 소멸시효(제척기간)를 규정한 민법 제999조 제2항이 헌법에 위배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사건으로, 헌법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판결했습니다.

#상속회복청구#소멸시효#제척기간#위헌

민사판례

20년 지나면 상속 되찾을 권리 없어진다? 진실은?!

옛날부터 내려오던 "상속이 시작된 후 20년이 지나면 상속회복청구권이 사라진다"는 관습은 법적인 효력이 없다는 대법원의 판결.

#상속회복청구권#소멸시효#관습법#대법원

민사판례

상속재산 다툼, 10년 넘으면 소송 못할 수도 있다?

상속재산을 둘러싼 다른 상속인과의 분쟁에서 진정한 상속인임을 주장하며 자신의 상속분을 되찾으려는 소송은, 그 소송의 형식이나 주장 내용이 어떻든 간에 '상속회복청구소송'으로 봐야 한다. 그리고 상속이 시작된 날로부터 10년이 지나면 이 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

#상속회복청구#10년#소멸시효#상속재산

민사판례

상속재산 다툼, 10년 지나면 소용없다? 상속회복청구 소멸시효에 대해 알아보자!

다른 상속인의 지분을 침해하여 상속재산을 단독 소유한 것처럼 등기한 경우, 이에 대한 다른 상속인의 등기말소 청구는 상속회복청구소송으로 봐야 하며, 상속개시일로부터 10년이 지나면 청구할 수 없다는 판결. 다만, 반대의견에서는 이를 소유권에 기반한 일반적인 등기말소 청구로 보아 10년 제척기간 적용에 반대함.

#상속재산#상속회복청구#제척기간#등기말소

민사판례

상속재산 다툼, 10년 지나면 소용없다? 상속회복청구권과 제척기간

공동상속인 중 한 명이 다른 상속인 몰래 혼자 상속재산을 자기 명의로 등기했을 때, 나머지 상속인들이 이를 바로잡기 위한 소송은 '상속회복청구 소송'에 해당하며, 이 소송은 10년의 기간 제한이 있다.

#상속회복청구소송#등기말소#공동상속#제척기간(10년)

민사판례

상속회복청구에 대해 알아보자!

진짜 상속인이 가짜 상속인이나 그로부터 재산을 받은 사람에게 재산 반환을 청구하는 소송은 형식에 관계없이 '상속회복청구 소송'으로 봐야 하며, 옛날 상속의 경우에는 6년 안에 소송을 제기해야 합니다.

#상속회복청구#구 관습법#소멸시효(6년)#민법 제999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