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3.05.11

특허판례

상표권 분쟁에서의 입증책임과 증거조사

상표권 분쟁, 특히 상표 등록 취소 심판에서 누가 무엇을 입증해야 할까요? 그리고 법원은 어디까지 증거를 찾아봐야 할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대법원 판결을 소개합니다.

쟁점 1: 상표 사용 여부는 누가 입증해야 할까?

상표권을 유지하려면 해당 상표를 실제로 사용하고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상표권자가 상표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주장이 제기되면, 누가 사용 여부를 입증해야 할까요?

이 판결 이전의 상표법(1990.1.13. 법률 제4210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45조 제3항은 이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었습니다. 핵심은 '등록된 주소 또는 영업소 지역에서의 불사용 입증'입니다.

만약 상표권 취소를 청구하는 사람이 상표권자의 등록된 주소 또는 영업소가 속한 구, 시, 군에서 상표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입증하면, 법률상 '전국에서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때 입증 책임은 상표권자에게 넘어갑니다. 상표권자는 전국 어딘가에서 상표를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해야 합니다.

이번 판결에서 대법원은 원심의 판단을 지지하며, 상표권 취소를 청구한 측이 제출한 증거만으로는 등록된 주소 또는 영업소 지역에서의 상표 불사용 사실을 충분히 입증했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대법원 1990.12.11. 선고 90후915 판결; 1991.10.8. 선고 91후59 판결; 1992.12.22. 선고 92후698 판결 등 참조)

쟁점 2: 법원은 직접 증거를 찾아야 할까?

상표권 취소 심판 과정에서 법원은 직접 증거를 찾아야 할 의무가 있을까요? 예를 들어, 상표 사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직접 사실조회를 해야 할까요?

이전 특허법(1990.1.13. 법률 제4207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116조 제1항은 법원이 직권으로 증거조사를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었습니다. 이번 판결에서 대법원은 '할 수 있다'는 것은 '해야 한다'는 의미가 아니라고 해석했습니다. 즉, 법원이 직권으로 사실조회를 하지 않았다고 해서 위법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대법원 1974.5.28. 선고 73후30 판결 참조)

이 사건에서 상표권 취소를 청구한 측은 법원에 직접 사실조회를 해달라고 요청했지만, 법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대법원은 이러한 법원의 판단이 정당하다고 보았습니다.

결론:

이 판결은 상표권 분쟁에서의 입증책임 분배 원칙과 법원의 증거조사 의무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상표권 관련 분쟁에 관심 있는 분들께서는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상표권 분쟁, 상표를 사용하지 않으면 취소될 수 있다?

상표권자가 자신의 주소지에서 상표를 사용하지 않으면, 다른 곳에서 사용했는지 증명해야 하고, 상표를 사용하지 않아서 생기는 책임은 상표권을 물려받은 사람에게도 적용된다.

#상표권#주소지#사용#입증책임

특허판례

상표 안 쓰면 취소될 수 있다?! 상표불사용 취소심판에서의 입증책임

사용하지 않는 상표는 취소될 수 있는데, 이때 상표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을 누가 입증해야 하는지, 그리고 상표권자에게 소송 서류를 전달할 방법을 찾지 못했을 때 공시송달(법원 게시판에 게시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데 어떤 주의가 필요한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상표#불사용#취소심판#입증책임

특허판례

상표등록 취소심판, 누가 청구할 수 있고, 상표 사용은 어떻게 증명할까?

상표등록취소심판을 청구하려면 청구인은 그 상표등록으로 인해 직접적인 피해를 볼 가능성이 있어야 합니다. 또한, 상표권자가 갱신등록을 했다면 최근 3년간 상표를 사용했다고 추정되므로, 청구인은 이 추정을 뒤집을 증거를 제시해야 합니다.

#상표등록취소심판#이해관계인#상표 사용 추정#갱신등록

특허판례

상표등록 취소심판, 누가 청구할 수 있을까? 그리고 상표는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

상표등록 취소심판을 청구할 수 있는 '이해관계인'의 범위와 상표가 지정상품에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상표등록취소심판#이해관계인#상표사용#지정상품

특허판례

상표권 분쟁, 누가 나서서 싸울 수 있을까? 그리고 상표는 어떻게 써야 할까?

누군가 상표등록을 취소해달라고 심판을 청구하려면 그 상표 때문에 직접적인 피해를 볼 우려가 있어야 하고, 결합상표의 경우 그 구성요소 중 일부만 사용하는 것은 상표를 제대로 사용한 것으로 보지 않는다는 판결.

#상표등록취소심판#이해관계인#결합상표#상표 사용

특허판례

상표권자는 누구이고, 상표등록 취소는 언제 되는 걸까요?

이 판례는 상표권자의 의미, 상표 불사용으로 인한 취소심판 청구 시점과 관련된 판단 기준, 그리고 상표권자가 타인에게 상표 사용을 허락한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에 대해 다룹니다.

#상표권자#상표 불사용 취소심판#심판청구일#타인 상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