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0.05.13

형사판례

새마을회 대표, 선거운동 할 수 있을까?

새마을운동!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단체죠. 그런데 이 새마을회 대표가 선거운동을 할 수 있을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새마을회와 선거운동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한 지방의회 의원이자 시 새마을회 대표가 선거운동을 했다는 이유로 기소되었습니다. 그는 자신이 지방의회 의원이기 때문에 선거운동을 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법원은 새마을회 대표의 지위에 주목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공직선거법 제60조 제1항 제8호를 근거로 새마을운동중앙회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을 받는 국민운동단체에 해당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이 조항은 바르게살기운동협의회, 새마을운동협의회, 한국자유총연맹을 명시적으로 언급하고 있습니다. 비록 새마을운동중앙회가 민법에 따라 설립된 사단법인 형태를 갖추고 있더라도, 국가 등의 지원을 받는 국민운동단체라는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시 새마을회는 새마을운동중앙회의 시 조직이기 때문에, 시 새마을회 대표 역시 선거운동을 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지방의회 의원이라는 지위와 관계없이 새마을회 대표라는 지위 때문에 선거운동이 제한된다는 것입니다.

법원은 이러한 판단이 죄형법정주의에 위배되는 유추해석이 아니라고 강조했습니다. 법 조항의 문구와 새마을운동 관련 법률의 내용, 새마을운동중앙회의 역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새마을회 대표의 선거운동 금지는 충분히 예측 가능한 해석이라는 것입니다.

핵심 정리

  • 새마을운동중앙회는 국가 등의 지원을 받는 국민운동단체로, 공직선거법상 선거운동이 제한되는 단체에 해당합니다.
  • 시 새마을회는 새마을운동중앙회의 시 조직이므로, 시 새마을회 대표 역시 선거운동을 할 수 없습니다.
  • 지방의회 의원이라도 새마을회 대표를 겸임하는 경우, 새마을회 대표로서 선거운동이 제한됩니다.

참고 법조항: 공직선거법 제60조 제1항 제8호

이번 판례는 새마을회와 같은 국민운동단체의 정치적 중립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선거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법원의 노력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농민회의 선거운동, 어디까지 허용될까?

군농민회처럼 특정 후보 지지가 허용된 단체라도, 선거법에 정해진 방법 외의 지지 활동은 불법 선거운동으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불법 선거운동#군농민회#유인물 배포#허용단체

생활법률

선거운동, 제대로 알고 하세요! ⚖️ (선거철 필독 가이드)

공직선거법에 따라 선거운동은 선거기간에만 가능하며, 예비후보자의 제한적 운동, 문자/인터넷 선거운동은 예외적으로 허용되지만, 미성년자, 공무원 등은 선거운동을 할 수 없고, 위반 시 처벌받는다.

#선거운동#공직선거법#선거기간#예비후보자

형사판례

단체의 선거운동, 어디까지 허용될까요?

특정 후보 지지가 허용된 단체라도, 단체의 공식적인 의사결정 절차 없이 대표자가 개인 의견으로 특정 후보를 반대하는 유인물을 배포하는 것은 선거법 위반이다.

#선거법 위반#단체 대표#개인 의견#유인물 배포

형사판례

산악회 활동, 선거운동일까요?

특정 후보의 당선 또는 낙선을 도모하려는 목적이 객관적으로 드러나는 행위를 선거운동으로 본다는 대법원 판결. 단순히 선거와 관련성이 있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선거인이 당락 도모 행위임을 명백히 인식할 만한 객관적인 사정이 있어야 함. 행위의 시기, 장소, 방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함.

#선거운동#당선/낙선 도모#객관적 인식#행위 시기/장소/방법

형사판례

단체가 선거운동을 하면 불법일까? - 박사모 사례 분석

박사모 대표가 재보궐선거에서 특정 후보 낙선운동을 했지만, 단체 명의로 한 선거운동으로 보기 어려워 무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박사모#대표#선거운동#무죄

형사판례

국회의원 되려면 대입설명회도 조심해야 한다?! 당내 경선과 선거운동 기준 알아보기

선거 전에 국회의원 후보자가 되려는 사람이 지역구에 단체를 설립하고,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대입 면접 특강과 입시설명회를 개최한 행위는 선거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는 행위로 선거법 위반이다.

#선거법 위반#사전선거운동#유사기관 설립#입시설명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