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2.06.23

형사판례

선거운동 기간 중 인쇄물, 광고 배포 금지, 헌법에 어긋나지 않아요!

혹시 선거철에 길거리에 붙은 현수막이나 전단지 때문에 눈살 찌푸린 적 있으신가요? 선거운동 기간에는 법에서 정한 방법 이외의 홍보 활동이 제한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선거의 공정성을 위한 규제가 헌법에 위배되는지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발단

한 피고인이 지방의회의원 선거 운동 기간 중 특정 정당 후보를 비판하고 특정 후보를 지지하는 내용의 인쇄물과 광고 형식의 신문을 배포했습니다. 이에 검찰은 지방의회의원선거법 위반 혐의로 기소했고, 피고인은 해당 법 조항이 헌법에 위배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쟁점

선거운동 기간 중 특정 후보를 지지하거나 비판하는 인쇄물, 광고 배포를 금지하는 지방의회의원선거법 조항(제57조, 제67조 제1항, 제181조 제2호)이 언론·출판의 자유(헌법 제21조 제1항), 평등권(헌법 제11조), 선거권(헌법 제24조), 기본권 제한의 한계(헌법 제37조 제2항)에 위반되는지가 쟁점이었습니다.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위 선거법 조항들이 헌법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판결했습니다. 법원은 선거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선거운동 방법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습니다. 만약 무제한적인 인쇄물, 광고 배포를 허용한다면 과도한 경쟁과 불법 행위가 발생하여 오히려 선거의 자유와 공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법원은 헌법이 보장하는 기본권이라도 공공복리를 위해 필요한 경우에는 법률로 제한할 수 있다는 점 (헌법 제37조 제2항)을 근거로 들었습니다. 선거의 공정성 확보라는 공공의 이익을 위해 선거운동 기간 중 인쇄물, 광고 배포를 제한하는 것은 필요하고 합리적인 조치라고 판단한 것입니다. 따라서 피고인의 행위는 지방의회의원선거법 위반에 해당한다고 최종 판결했습니다.

관련 법 조항

  • 지방의회의원선거법: 제57조(현수막 등의 설치, 게시 금지), 제67조 제1항(광고 등의 배부 금지), 제181조 제2호(벌칙)
  • 헌법: 제21조 제1항(언론·출판의 자유), 제24조(선거권), 제11조(평등권), 제37조 제2항(기본권 제한)

이번 판례를 통해 선거의 공정성을 위한 제한적인 규제는 헌법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선거는 민주주의의 꽃이라고 불리는 만큼, 모두가 공정한 환경에서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선거기간 중 불법 선거운동, 헌법에 어긋나지 않아

선거운동 기간 중 법에 정해진 방법 이외의 선거 관련 인쇄물 제작, 배포는 선거의 공정성을 해칠 수 있으므로 금지되며, 이는 헌법에 어긋나지 않는다.

#대통령선거법위반#불법선거운동#인쇄물배포#선거공정성

형사판례

지역 신문 배포, 선거법 위반일까?

평소처럼 발행하던 무료 지역신문에 선거 관련 기사를 싣고, 기존 방식대로 배포했다면 선거법 위반이 아니다.

#지역신문#선거기사#배포#통상적 방법

형사판례

정당 활동, 어디까지 허용될까? - 선거철 홍보물 배포, 통상적인 정당활동 vs. 불법 선거운동

선거일 전 180일부터 선거일까지 특정 후보를 지지하는 내용의 책자나 신문 등을 배포하는 것은 통상적인 정당활동이 아니며, 선거법 위반에 해당한다.

#선거법 위반#선거홍보#책자 배포#지구당보

형사판례

선거법 위반, 어디까지가 문제일까?

이 판결은 선거 운동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선거법 위반 행위에 대한 판단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후보자가 되려는 사람의 인사장 배포, 창당대회 개최, 예비후보자의 명함 배포 및 지지 호소 행위 등이 선거법 위반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다루고 있습니다.

#선거법 위반#인사장 배포#창당대회#예비후보자

형사판례

선거와 관련된 법 위반, 어디까지 처벌될까?

선거 기간 중 명함 배포, 상대 후보에 대한 허위 사실 공표 등의 행위가 선거법 위반에 해당하는지 여부

#선거법 위반#명함 배포#허위사실 공표#상고 기각

형사판례

선거법 위반, 어디까지 처벌될까?

이 판례는 선거운동 기간 전 명함 배포, 선거사무원 수당 지급, 선거연락소 설치, 정당 활동비 지급, 여론조사, 당직자 회의 후 식사 제공 등 다양한 선거 관련 행위의 적법성 여부를 판단한 사례입니다. 특히 선거운동 기간 위반과 탈법적 문서 배포 금지 위반죄의 관계를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선거법위반#명함배포#선거사무원수당#선거연락소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