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의 계절이 다오면 후보자들은 유권자의 마음을 얻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치죠. 그런데 선거운동을 명목으로 금품을 제공하는 행위는 엄격히 금지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선거운동과 관련한 금품 제공이 어떤 경우에 처벌되는지, 대법원 판례를 통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지방자치단체장 선거에 출마하려던 甲은 자신의 아내를 통해 乙에게 1,500만 원을 빌려주었습니다. 검찰은 이 돈이 선거운동과 관련된 금품 제공이라고 보고 甲을 기소했습니다. 1심과 2심 법원은 乙이 차용한 돈이 선거운동과 관련되었다고 보기 어렵다며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원심판결을 뒤집고 사건을 다시 심리하라고 판결했습니다. 핵심 쟁점은 돈이 "선거운동과 관련하여" 제공되었는지 여부였습니다.
대법원은 '선거운동과 관련하여'라는 문구를 **"선거운동에 즈음하여, 선거운동에 관한 사항을 동기로 하여"**라고 해석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선거운동을 위하여"라는 의미보다 훨씬 넓은 범위를 포함한다는 것입니다. 즉, 선거운동의 목적이나 선거에 영향을 미치려는 목적이 없더라도 선거의 자유와 공정성을 침해할 우려가 있는 행위는 처벌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대법원은 다음과 같은 이유를 들어 원심 판결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결론
이 판례는 선거운동과 관련된 금품 제공 행위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선거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법원의 의지를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선거와 관련된 금전 거래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하며, 법에 저촉되는 행위는 삼가야 할 것입니다.
형사판례
선거운동 기간 전이라도 사무실 운영, 선거운동원 활동 등 당선을 위한 조직적인 활동을 하고 그 과정에서 금품을 제공하면 선거법 위반입니다. '선거운동 관련'이란 꼭 선거운동의 대가가 아니더라도 선거운동을 둘러싼 다양한 상황에서 제공된 금품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입니다.
형사판례
특정 단체 활동을 선거운동으로 볼 수 있는지, 선거와 관련된 금품 제공이 선거운동의 대가가 아니더라도 처벌될 수 있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 원심의 판단에 오류가 있어 파기 환송.
형사판례
선거기획단 운영, 여론조사, 자필 편지 발송 등 선거 전 활동도 선거운동에 포함되며, 이에 드는 비용은 선거비용으로 계산해야 한다. 또한, 선거운동 대가로 금품을 제공하는 것은 불법이며, 선거비용 지출 보고서를 허위로 작성하는 것도 처벌 대상이다.
형사판례
후보자 배우자가 선거사무원에게 유권자에게 줄 돈을 건넨 행위가 선거법상 기부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결입니다. 다수의견은 기부행위에 해당한다고 판단했고, 반대의견은 단순 교부행위일 뿐 기부행위는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형사판례
선거에 출마할 후보자를 정하기 위한 당내 경선에서도 돈이나 선물을 주는 행위는 선거법 위반입니다. 경선과 선거가 직접적인 선거운동은 아니더라도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본 판례에서는 당내 경선에서 특정 후보를 지지해달라며 술값을 대신 내준 행위를 선거법 위반으로 판결했습니다.
형사판례
이 판례는 선거운동 기간 전 행위가 사전선거운동에 해당하는지, 기부행위가 위법한지, 선거인 매수죄의 대상이 누구인지 등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