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세금과 관련된 세 가지 중요한 법원 판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업하시는 분들, 특히 세금 문제에 민감하신 분들께 도움이 될 만한 내용입니다.
1. 허위 세금계산서와 입증 책임
만약 세금 신고 시 제출한 비용 증빙 중 일부 세금계산서가 허위로 밝혀지면 어떻게 될까요? 법원은 납세자가 해당 비용이 실제로 지출되었다는 것을 입증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과세관청이 허위 세금계산서를 제시하고, 납세자가 주장하는 비용의 용도나 거래 상대방이 허위임이 어느 정도 입증된 경우, 납세자는 장부, 증빙자료 등을 통해 실제 지출을 증명해야 합니다. 납세자는 관련 자료를 제시하기 용이한 입장에 있기 때문입니다. (관련 판례: 대법원 1994. 10. 28. 선고 94누5816 판결, 대법원 1995. 7. 14. 선고 94누3407 판결, 대법원 1996. 4. 26. 선고 96누1627 판결 / 참조조문: 국세기본법 제16조, 구 소득세법 제31조(현행 제27조 참조))
2. 추계과세, 언제 가능할까?
세금 계산은 원칙적으로 실지조사를 통해 이뤄집니다. 하지만 납세자의 장부나 증빙서류가 없거나, 중요 부분이 허위로 기재되어 신뢰할 수 없고, 과세관청이 소득 실액을 파악할 다른 방법이 없는 경우 추계과세가 가능합니다. 단순히 장부의 일부에 허위 기재가 있다고 해서 바로 추계과세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허위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사실과 부합한다면 실지조사를 통해 과세해야 합니다. 또한 실지조사 결과가 추계과세보다 납세자에게 불리하거나, 납세자가 스스로 추계과세를 원한다는 이유만으로 추계과세 할 수는 없습니다. (관련 판례: 대법원 1995. 7. 14. 선고 94누3407 판결, 대법원 1995. 8. 22. 선고 95누2241 판결, 대법원 1996. 1. 26. 선고 95누6809 판결 / 참조조문: 구 소득세법 제120조(현행 제80조 제3항 참조), 구 소득세법시행령 제169조 제1항(현행 제143조 제1항 참조))
3. 동업 소득, 어떻게 나눌까?
두 사람 이상이 동업으로 사업을 한다면 소득은 어떻게 분배해야 할까요? 법원은 손익분배 비율에 따라 나누어야 하며, 특별한 약정이 없다면 출자 지분 비율대로 분배한다고 판단했습니다. (관련 판례: 대법원 1995. 4. 11. 선고 94누13152 판결, 대법원 1995. 11. 10. 선고 94누8884 판결 / 참조조문: 국세기본법 제14조 제1항, 구 소득세법 제2조 제1항, 제56조 제2항(현행 제43조 제2항 참조))
위 내용은 사업 운영 및 세금 신고 시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항상 정확한 장부 기록과 증빙자료 준비를 통해 불필요한 분쟁을 예방하고, 관련 법규를 숙지하여 정당한 세금 납부를 하시기 바랍니다.
세무판례
세무서가 장부가 없다는 이유로 비슷한 업종의 다른 가게 매출을 기준으로 세금을 추정해서 매겼는데, 법원은 두 가게의 위치 등 영업 환경이 달라 부당하다고 판결했습니다. 또한, 같은 기간에 대해 일부는 실제 조사, 일부는 추정으로 세금을 매기는 것도 안 된다고 했습니다.
세무판례
세무서가 세금을 추계로 계산하려면, 납세자가 제출한 자료가 부실하더라도 먼저 실제 금액을 확인하기 위한 조사를 충분히 해야 하며, 다른 유사 사업자와 비교하는 방식을 쓸 때는 비교 대상이 적절한지 꼼꼼히 따져야 한다.
세무판례
세금 계산의 기초가 되는 장부가 불완전하거나 허위일 경우, 세무서에서 추정하여 세금을 계산하는 추계과세를 할 수 있다. 설령 소송 중에 장부를 제출하더라도 그 장부가 여전히 불완전하거나 허위라면 추계과세는 유효하다.
세무판례
세무서가 추측으로 세금을 계산하려면 납세자가 제대로 된 장부나 증빙서류를 갖추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추측으로 계산한 세금 부과는 위법입니다.
세무판례
세금 부과가 잘못되었다고 소송을 할 때, 소송을 제기한 사람이 잘못된 부분을 구체적으로 주장해야 하고, 처음부터 주장하지 않은 내용은 나중에 추가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세금 계산 방식이 잘못되었다고 처음에는 주장하지 않고 나중에 대법원에 와서야 주장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세무판례
이 판례는 소득세 부과처분 취소소송을 제기하기 전에 반드시 해당 과세처분에 대한 전심절차를 거쳐야 하며, 법인세 추계과세는 법에서 정한 요건을 충족해야 하고, 단일 과세목적물에 대해 실지조사와 추계조사를 혼합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