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가신 아버지로부터 토지와 건물을 증여받아 증여세를 납부했는데,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상속세 신고를 위해 세무서를 찾았습니다. 세무서 직원은 자료를 확인하더니 상속재산이 없어 과세미달 처리되었으니 상속세 신고를 할 필요가 없다고 안내했습니다. 그 말을 믿고 상속세 신고를 하지 않았는데, 나중에 세무서에서 3년 이내 증여받은 재산은 상속재산에 포함해야 한다며 상속세를 부과했습니다. 세무서 직원의 말만 믿고 신고를 안 했는데, 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할까요?
법원은 세무서 직원의 안내를 믿고 신고하지 않은 납세자에게 불이익을 줄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이 사건에서 납세자는 세무서 직원의 안내에 따라 상속세 신고를 하지 않았습니다. 세무서 직원은 납세자에게 상속재산이 없어 과세미달 처리되었으니 신고할 필요가 없다고 안내하고 관련 자료까지 제공했습니다. 납세자는 세무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세무서 직원의 안내를 믿고 따랐을 뿐, 고의로 신고를 누락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법원은 과세관청이 납세자에게 신뢰할 만한 공적인 견해를 표시했고, 납세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그 견해를 신뢰하여 상속세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 과세관청이 이를 이유로 납세자에게 불이익을 주는 것은 신의성실의 원칙에 위배된다고 판단했습니다. (국세기본법 제15조, 제18조 제3항)
즉, 세무서 직원의 잘못된 안내를 믿고 신고기한 내에 신고하지 않은 납세자에게 신고 누락에 대한 책임을 물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세무서는 납세자에게 상속세법 시행령 개정 전 규정을 적용하여 상속세를 계산해야 합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이 판례는 세무 공무원의 안내를 믿고 따른 납세자를 보호하는 중요한 판례입니다. 세금 문제는 복잡하고 어렵기 때문에 세무 공무원의 안내가 매우 중요합니다. 만약 세무 공무원의 안내를 믿고 따랐다가 불이익을 받게 된다면, 이 판례를 참고하여 권리를 주장할 수 있습니다.
세무판례
상속 직후 세무서가 상속세 신고를 막았다고 하더라도, 3년 후 재산 가치가 올라 그 시점 가치로 상속세를 부과한 것이 신의칙에 위반된다는 이유만으로는 해당 세금 부과가 당연히 무효가 되는 것은 아니다.
세무판례
상속세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 세법에서 정한 방식대로 재산이 평가되며, 납세자가 이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할 때는 구체적인 위법 사실을 주장해야 한다는 판결.
세무판례
상속세 신고를 하지 않거나 누락한 경우, 상속 발생 시점이 아닌 상속세 부과 시점의 재산 가액으로 세금을 매기는 것은 정당하다.
세무판례
상속 전에 증여받은 재산은 상속재산에 포함되더라도 별도로 증여세 신고·납부를 해야 하며, 세무공무원의 잘못된 안내를 믿었다는 이유만으로는 가산세 면제 사유가 되지 않습니다.
세무판례
상속인이 상속세 신고 당시 피상속인의 주소를 잘못 신고했더라도, 관할이 없는 세무서가 한 상속세 부과 처분은 위법하며, 상속인이 나중에 관할 위반을 주장하는 것이 신의칙 위반은 아니다. 세무서는 상속인의 신고에만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주소를 확인해야 할 의무가 있다.
세무판례
세무서 직원의 잘못된 세무 지도를 믿고 골절치료기구 판매 시 부가가치세를 받지 않았던 사업자에게 뒤늦게 세금을 부과하는 것은 신의성실 원칙에 위배된다는 판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