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송을 진행하다 보면 처음에 생각했던 것과 상황이 달라져 청구 내용을 바꿔야 할 때가 있습니다. 오늘은 소송 중 청구를 변경했을 때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대법원 판례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들은 처음에 피고가 약속을 어기고 부동산에 대한 경매 신청을 취하하지 않아 손해를 입었다며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했습니다. 그런데 소송이 진행되는 중 피고 회사에 대한 정리절차가 개시되었다가 종결되었죠. 이 때문에 원고들은 손해배상 대신 정리채권확정청구로 소송 내용을 변경했습니다. 쉽게 말해, 원래는 "피고가 손해를 배상하라!"라고 요구하다가 "피고 회사에 대한 정리채권을 인정해달라!"라고 바꾼 것입니다. 이를 교환적 청구 변경이라고 합니다.
원심의 오류
2심 법원은 원고들의 원래 청구(손해배상청구)는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여 기각했습니다. 그러나 변경된 청구(정리채권확정청구)에 대해서는 아무런 판단도 내리지 않았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2심 판결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송 중 청구를 교환적으로 변경하면 원래 청구는 취하된 것으로 간주되고, 변경된 청구만이 심판 대상이 됩니다 (민사소송법 제262조). 즉, 원래의 손해배상청구는 없어지고 정리채권확정청구만 남게 되는 것이죠. 그런데 2심은 없어진 청구에 대해 판단하고, 남아있는 청구는 판단하지 않은 오류를 범한 것입니다. 따라서 대법원은 2심 판결을 파기하고, 원래의 손해배상청구소송은 원고들의 청구 변경으로 종료되었다고 선언했습니다 (민사소송법 제437조).
핵심 정리
이처럼 소송 중 청구 변경은 그 효과를 정확히 이해해야 합니다. 잘못하면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할 수도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민사판례
소송 중 청구 내용을 변경할 때, 변경 방식(기존 청구 취소 후 새로운 청구인지, 기존 청구에 추가하는 것인지)이 불분명하면 법원은 당사자에게 그 의도를 확인하고 명확히 해야 할 의무가 있다.
민사판례
소송 중 청구를 완전히 다른 내용으로 변경하면 원래 청구는 취하된 것으로 간주하고, 변경된 청구에 대해서만 판단해야 합니다.
민사판례
소송 중 청구 내용을 변경할 때, 변경하려는 의도가 명확하지 않으면 법원은 어떤 의도로 변경하는지 물어봐야 할 의무가 있다.
민사판례
소송 중에 새로운 주장을 추가할 수 있지만, 이로 인해 소송이 크게 지연될 경우 법원은 이를 허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재판은 공정하고 신속하게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민사판례
항소심 재판 중에 새로운 청구가 추가되거나 기존 청구가 변경되어도, 변경/추가된 청구 내용이 항소심 법원의 관할 범위에 해당한다면, 항소심 법원이 그대로 심리할 수 있다.
민사판례
소송 중 청구 내용이 불분명하게 변경된 경우, 법원은 당사자에게 정확한 의도를 확인하고 밝혀야 할 의무(석명 의무)가 있습니다. 단순히 청구 취지만 바뀌었더라도, 그 내용이 청구 원인과 일치한다면 새로운 청구가 아닌 단순 명확화로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