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3.02.14

세무판례

수입신고 시 양허관세 적용과 세관의 의무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입 과정에서 양허관세 적용과 관련된 중요한 판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이 판례는 수입업자의 납세신고에 대한 세관의 의무와 시장접근물량에 따른 양허관세 적용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사건의 개요

한 수입업자가 시장접근물량에 따라 다른 양허관세율이 적용되는 물품을 수입하면서, 낮은 세율을 적용받기 위한 추천서를 제출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세관은 높은 세율을 적용하여 과세했고, 수입업자는 이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세관은 수입업자의 납세신고를 수리할 때, 양허관세 적용 대상 여부 등을 심사하거나 보완을 요구할 의무가 있는가?
  2. 시장접근물량 양허관세 적용 추천을 받지 못한 경우, 낮은 세율을 적용받을 수 있는가? 관련 규정이 위헌 또는 위법인가?
  3. 추천서를 제출하지 않은 수입신고자에게 높은 세율을 적용한 과세처분은 적법한가?

법원의 판단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단했습니다.

  1. 관세법은 신고납세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수입업자는 스스로 품목분류, 세율 등을 기재하여 신고하고 관세를 납부할 의무가 있습니다. 세관은 신고된 세액을 수입신고 수리 에 심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추천서 미제출 시, 세관은 심사 또는 보완 요구 의무가 없습니다. (구 관세법 제17조 제1항, 제2항, 구 관세법시행령 제5조 제1항 - 현행 관세법 제38조 제1항, 제2항, 제32조 제1항 참조)

  2. 구 축산법은 시장접근물량 양허세율 적용을 위해 농림부장관의 추천을 받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추천을 받지 못한 경우 낮은 세율 적용은 불가능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규정은 위헌 또는 위법이 아닙니다. (구 축산법 제14조의2 제1항, 제2항 - 현행 축산법 제24조 제1항, 제2항 참조)

  3. 추천서를 제출하지 않은 이 사건 수입신고자에게 시장접근물량 초과분에 해당하는 높은 양허세율을 적용한 과세처분은 적법합니다.

결론

이 판례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수입업자는 양허관세 적용 요건을 스스로 확인하고 필요한 서류를 갖추어 신고해야 합니다. 세관은 신고 내용에 대한 심사 의무는 있지만, 추천서 미비 등의 경우에는 높은 세율을 적용하는 것이 적법합니다. 이 판례는 대법원 2000. 11. 24. 선고 99다65035 판결(공2001상, 120)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수입 통관 시 세관의 확인 의무 범위는?

수입업자가 특정 물품 수입 시 낮은 세율(양허관세율)을 적용받기 위해 필요한 추천서를 제출하지 않았더라도, 세관은 수입신고 접수 단계에서 이를 확인하고 보완을 요구할 의무가 없다.

#양허관세율#추천서#미제출#세관

세무판례

수입 전량 할당관세, 추천 없이도 적용될까?

수입 물품 전체에 대해 할당관세가 적용되는 경우, 주무부 장관의 추천 없이도 할당관세율을 적용할 수 있다.

#할당관세#추천#수입전량#식용대두

형사판례

수입승인서 변조, 무면허 수입죄일까?

수입 시 필요한 '업자용' 수입승인서를 '세관용'으로 변조하여 세관에 제출해 수입 면허를 받았더라도, 법에서 요구하는 필수 서류가 아니었기 때문에 무면허수입죄로 처벌할 수 없다는 판결.

#무면허수입죄#수입승인서#변조#세관용

세무판례

수입신고 후 관세 납부는 세관의 '확인'일까, 아니면 그냥 '받는' 행위일까? 그리고 유리 두께 오차, 관세에 영향 줄까?

1994년부터 관세 납부 방식이 세관의 부과 방식에서 자진 신고·납부 방식으로 바뀌었고, 조정관세 대상 판유리의 두께는 법에 정해진 범위를 엄격하게 적용해야 하며, 허용오차를 이유로 범위를 넓혀서는 안 된다는 판결입니다.

#판유리#관세#부과처분#자진신고납부

세무판례

수입설비 권리사용료, 관세 부과는 정당할까?

해외에서 설비를 수입하면서 지급한 특허·노하우 사용료 전체에 관세를 부과한 것은 잘못됐다는 판결. 설비와 직접 관련 없는 부분(예: 사업운영 노하우)까지 포함해서 관세를 매긴 것은 부당하기 때문에 취소해야 한다는 내용.

#수입설비#권리사용료#관세#부과취소

세무판례

계약과 다른 수입물품, 관세와 가산세는 어떻게 될까?

계약 내용과 다른 수입 물품을 정해진 절차에 따라 반품한 경우, 관세와 부가가치세 납세 의무가 없으며, 따라서 가산세 납세 의무도 없다.

#수입물품#반품#관세#부가가치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