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스토킹, 데이트폭력... 상상만 해도 끔찍한 범죄입니다. 피해자분들은 신체적, 정신적 고통뿐 아니라 사회생활에도 큰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오늘은 이러한 피해자분들을 위한 정부 지원 제도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성폭력 또는 가정폭력이 수반된 경우, 그리고 범죄피해 배상을 받지 못했거나 구조피해자가 된 경우에 초점을 맞춰 설명드리겠습니다.
1. 성폭력이 수반된 스토킹·데이트폭력 피해자 지원
주택 공급 (국민임대주택 우선공급): 안전한 주거 확보는 피해 회복의 첫걸음입니다. 성폭력 피해자는 국민임대주택에 우선 입주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집니다. (공공주택 특별법 시행규칙 별표 4, 2024년 여성·아동권익증진사업 운영지침)
조건: 무주택 세대구성원으로 일반공급 입주자격 충족, 그리고 아래 조건 중 하나를 만족해야 합니다.
신청 시 보호시설/그룹홈 입소/입주 확인서 제출 필수 (2024년 여성·아동권익증진사업 운영지침)
비밀 전학: 가해자와의 접촉을 피하고 안전하게 학업을 이어갈 수 있도록 비밀 전학 제도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성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7조제1항, 2024년 여성·아동권익증진사업 운영지침)
돌봄 지원: 13세 미만 자녀를 둔 성폭력 피해자는 돌봄 서비스 이용 시 자부담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2024년 여성·아동권익증진사업 운영지침)
2. 가정폭력이 수반된 스토킹 피해자 지원
가정폭력이 수반된 스토킹 피해자의 경우, 성폭력 피해자와 유사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택 공급 (국민임대주택 우선공급): 위 '성폭력 피해자 주택공급' 조건과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8조의5, 동법 시행령 제4조의2제1항, 공공주택 특별법 시행규칙 별표 4, 2024년 여성·아동권익증진사업 운영지침)
자립·자활 지원: 보호시설 입소자 또는 그룹홈 입주자는 직업교육 및 진학교육비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7조의5제1항제4호, 동법 시행규칙 제8조제2항, 2024년 여성·아동권익증진사업 운영지침)
비밀 전학: 피해 아동의 안전한 학업을 위해 비밀 전학이 지원됩니다.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4조의4, 동법 시행령 제1조의3)
3. 범죄피해 배상을 받지 못하거나 구조피해자가 된 경우
범죄피해 구조금: 범죄로 사망, 장해, 중상해를 입었으나 배상을 받지 못했거나, 수사/재판 과정에서 피해를 입은 경우 구조금을 지급합니다. (범죄피해자 보호법 제16조, 제17조)
4. 긴급복지지원
가정폭력, 성폭력으로 인해 생계유지가 어려운 경우 긴급복지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긴급복지지원법 제2조제4호, 제3조) 단, 다른 법령에 따른 지원과 중복 수급은 불가능합니다.
이처럼 다양한 지원 제도가 마련되어 있으니, 혼자 어려움을 겪지 마시고 관련 기관에 도움을 요청하세요. 피해자분들의 빠른 회복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생활법률
스토킹·데이트폭력 피해자는 법률, 의료, 주거 지원 및 치료 프로그램 등 정부의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으니 혼자 앓지 말고 적극적으로 도움을 요청하세요.
생활법률
성매매 피해자는 지원시설, 성매매집결지 현장지원사업, 자활지원센터, 취업성공패키지 등을 통해 직업훈련, 취업, 자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생활법률
가정폭력·성폭력 피해 여성에게 그룹홈(공동생활 주거 지원)과 국민임대주택 우선 공급을 통해 안전한 주거를 지원한다.
생활법률
성매매 피해자는 지원시설·상담소 이용자, 집결지 성매매 여성을 대상으로 최대 760만원(최장 3년 지원)의 법률 지원(변호사 선임, 증거수집 등)을 받을 수 있으며, 대한법률구조공단 등을 통해 무료 법률 상담도 가능하다.
생활법률
성폭력 피해자는 유형별 보호시설(일반, 장애인, 특별지원, 외국인, 자립지원)에서 숙식, 상담·치료, 자립·자활 지원, 의료·법률 지원 등을 받을 수 있으며, 필요시 보호 기간 연장도 가능하다.
생활법률
성매매 피해자를 위한 지원시설은 성인, 청소년, 탈성매매 여성을 대상으로 숙식, 상담, 의료, 법률, 교육, 취업 지원 등 자립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