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0.10.12

가사판례

시어머니와의 갈등, 그 이유로 이혼할 수 있을까?

결혼 생활을 하다 보면 시댁과의 갈등은 피하기 어려운 문제 중 하나입니다. 특히 고부갈등은 오랜 세월 동안 많은 가정에서 겪어온 어려움이죠. 그렇다면 시어머니와의 불화를 이유로 이혼을 요구할 수 있을까요? 오늘은 시어머니와의 갈등으로 인한 이혼 소송에서 아내의 손을 들어준 판례를 소개하며, 어떤 경우에 이혼 사유가 될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남편 A씨는 아내 B씨를 상대로 이혼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A씨는 장남으로서 어머니와 두 남동생의 생활비와 학비를 지원해야 하는 상황이었는데, B씨가 이를 이해하지 못하고 시댁과 갈등을 일으켰다는 것이 이혼 사유였습니다. A씨는 B씨가 자신의 월급을 계돈 등으로 사용하고 시댁에 경제적인 도움을 주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 결국 A씨는 어머니, 동생들과 함께 살게 되었고, B씨는 A씨와 시어머니가 함께 사는 것을 거부하며 혼자 생활하게 되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A씨의 이혼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B씨가 A씨의 입장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고 시댁과 불화를 일으킨 것은 잘못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A씨가 처자식을 돌보지 않고 어머니, 동생들과 함께 산 것은 부부로서의 의무를 저버린 행동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즉, A씨가 B씨와의 관계를 소홀히 하고 가정을 돌보지 않은 것이 이혼 사유가 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배울 점

이 판례는 부부간의 갈등 해결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시댁과의 갈등이 있더라도 배우자로서의 의무를 다하지 않는 것은 이혼 사유가 될 수 없다는 점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고 배려하며, 책임감 있는 태도로 가정을 지켜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관련 법 조항

  • 민법 제840조 (재판상 이혼원인) 부부의 일방은 다음 각호의 사유가 있을 때에는 가정법원에 이혼을 청구할 수 있다.

참고

이 판례는 시어머니와의 갈등 자체가 이혼 사유가 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혼은 부부간의 심각한 문제이며, 신중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입니다. 관련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시어머니 때문에 이혼?! 위자료 받을 수 있을까요?

시어머니의 심한 학대와 간섭 등 부당한 행위가 혼인 파탄의 원인이라면 시어머니에게 위자료 청구가 가능하지만, 피해자는 이를 입증할 책임이 있다.

#시어머니#이혼#위자료#고부갈등

가사판례

시부모님 용돈 문제로 이혼? 파탄 책임은 누구에게?

시부모의 경제적 지원 요구로 인한 부부 갈등을 남편이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고 집을 나가 별거함으로써 혼인 파탄의 주된 책임이 남편에게 있다고 판단하여, 남편의 이혼 청구를 기각한 사례.

#시부모 부양#부부갈등#혼인파탄#이혼청구 기각

가사판례

아내의 우울증, 이혼 사유가 될까요?

아내가 우울증을 앓았지만 현재는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고 남편과의 혼인생활을 원하는 경우, 남편은 아내의 우울증을 이유로 이혼할 수 없다. 부부는 서로에게 협조하고 애정과 인내를 가지고 혼인생활 유지를 위해 노력해야 하며, 특히 배우자가 아플 때는 보호하고 정성을 다해야 할 의무가 있다.

#우울증#이혼#기각#부부의무

상담사례

시어머니가 증여한 아파트, 이혼 시 재산분할 받을 수 있을까요?

시어머니가 증여한 아파트는 원칙적으로 재산분할 대상이 아니지만, 아내가 시어머니 재산 유지·증식에 기여했다는 사실을 입증하면 기여도만큼 재산분할을 받을 수 있다.

#증여재산#재산분할#기여도#입증

가사판례

80대 남편과 70대 아내, 이혼은 할 수 있을까? - 부당한 대우와 혼인 파탄

75세 아내가 83세 남편을 상대로 이혼 소송을 제기했으나, 법원은 '심히 부당한 대우'나 '혼인 파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이혼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고령부부#이혼기각#심히 부당한 대우#혼인파탄

가사판례

시어머니 때문에 이혼했는데 위자료도 받고 예물도 내꺼라고?

판결 주문에 이의가 없다면 판결 이유에 불만이 있어도 상고할 수 없으며, 혼인이 성립되어 상당 기간 지속되었다면 약혼예물은 받은 사람의 소유이다.

#상고이익#판결이유#약혼예물#소유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