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8.02.10

민사판례

아파트 입주 지연, 누구 책임일까? 중도금과 입주, 그리고 연체료에 대한 이야기

아파트 분양 계약 후 입주가 지연되는 상황, 누구나 겪을 수 있는 문제입니다. 특히 건설사의 사정으로 입주가 늦어지면 계약자는 속이 타들어 가죠. 이런 상황에서 중도금과 잔금, 연체료는 어떻게 되는 걸까요? 오늘은 대법원 판례를 통해 이 문제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쟁점 1: 중도금 미납 시 입주 지연 책임은?

만약 입주 예정일이 다가왔는데 매수인(계약자)이 중도금을 아직 내지 않았다면 어떻게 될까요? 이 경우, 매수인의 중도금 지급 의무와 매도인(건설사)의 입주 의무는 동시이행관계에 놓이게 됩니다. 쉽게 말해, 서로 동시에 의무를 이행해야 하는 관계라는 뜻이죠. (민법 제536조)

따라서 매수인이 중도금을 낼 때까지 매도인은 입주 지연에 대한 책임(지체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매수인이 중도금을 모두 납부한 시점부터 매도인의 지체책임이 시작됩니다. (대법원 1970. 5. 12. 선고 70다344 판결, 1991. 3. 27. 선고 90다19930 판결, 1992. 7. 24. 선고 91다38723, 38730 판결 등)

쟁점 2: 중도금 연체료, 언제 내야 할까요?

분양 계약서에는 보통 중도금을 연체하면 연체료를 내도록 약정되어 있습니다. 이 연체료는 손해배상액의 예정으로, 매수인이 중도금 지급을 지체했을 때 내야 하는 돈입니다. (민법 제398조)

그런데 앞서 설명드린 것처럼, 매수인이 중도금을 내지 않은 상태에서 입주 예정일이 지났다면 매수인과 매도인의 의무는 동시이행관계가 됩니다. 즉, 매도인이 입주를 가능하게 할 때까지 매수인은 중도금 지급 지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입주 예정일 이후에 중도금을 납부하더라도 입주 예정일 이후부터 중도금 납부일까지의 기간에 대한 연체료는 부당이득이 되어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대법원 1997. 7. 25. 선고 97다5541 판결)

결론:

아파트 입주 지연 문제는 복잡해 보이지만, 핵심은 '동시이행'과 '지체책임'입니다. 중도금을 미납한 상태에서 입주가 지연되었다면 매수인과 매도인 모두 상대방의 의무 이행을 기다리는 상태가 되고, 이때는 서로 지체 책임을 묻기 어렵습니다. 특히 연체료는 지체 책임이 발생해야 납부 의무가 발생한다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아파트 중도금 냈는데 입주는 언제? 지체상금 받을 수 있을까?

아파트 입주 지연 시, 수분양자는 중도금 완납 후부터 입주 가능일까지 지체상금을 청구할 수 있으며, 건설사 귀책으로 인한 입주 지연 기간의 중도금 연체이자는 반환받을 수 있다. 또한, 건설사의 신용불안 등 정당한 사유가 있다면 중도금 지급을 거부하고 입주 가능성 증명을 요구할 수 있다.

#아파트#중도금#입주지연#지체상금

민사판례

아파트 입주 지연, 중도금 납부 늦어도 지체상금 받을 수 있을까?

아파트 분양 계약에서 입주 예정일이 지났는데도 중도금을 늦게 냈다면, 건설사는 언제부터 지체상금을 내야 할까요? 그리고 지체상금 계산할 때, 늦게 낸 중도금도 포함해야 할까요? -> 건설사는 중도금을 모두 받은 날부터 지체상금을 내야 하고, 늦게 낸 중도금도 계산에 포함해야 합니다.

#아파트#입주지연#지체상금#중도금

민사판례

아파트 입주 지연, 지체상금은 어떻게 계산될까?

아파트 입주가 지연될 경우, 건설사가 지급해야 할 지체상금 계산 시 입주 예정일 이후에 낸 중도금과 연체료도 포함된다는 대법원 판결.

#아파트#입주지연#지체상금#중도금

민사판례

아파트 입주 지연, 지체상금은 어떻게 계산될까?

아파트 입주가 지연되었을 때, 건설사가 중도금 납부일을 연장해준 경우 지체상금 계산 시 연장된 기간을 제외할 수 있고, 지연손해금은 상사법정이율을 적용해야 한다.

#아파트 입주지연#지체상금#중도금 납부 연장#상사법정이율(연 6%)

민사판례

아파트 입주 지연, 건설사는 언제 책임을 면할 수 있을까?

아파트 건설 중 유적 발굴로 인한 입주 지연은 건설사의 책임이며, 계약상의 지체상금을 지급해야 한다. 다만, 지체상금이 과도하게 많을 경우 법원은 상황에 따라 감액할 수 있다.

#아파트 입주지연#지체상금#건설사 책임#유적 발굴

상담사례

아파트 입주 지연, 중도금 납부 연장만큼 보상 못 받을 수도 있다?! 🤔

아파트 입주 지연 보상금 계산 시, 중도금 납부 연장 기간을 고려해야 하지만, 단순히 빼는 것 외에도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공평하게 조정될 수 있다.

#아파트#입주 지연#중도금 납부 연장#보상